책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따라하기
' (설문조사 결과를 보니) 누구도 자바와 스프링 프레임워크로 웹개발을 하진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제 읽기 시작했는데 시작부터 놀라웠다. 나만 그렇게 배웠구나. 내가 참 좋은 선생님께 잘 배웠구나.
저자는
'하나같이 모두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어렵고, 복잡하고, 거추장스럽다는 것이었습니다. 저자는 이 생각이 과거에는 맞지만, 현재는 틀렸다고 생각합니다. 스프링 부트가 나오면서 더는 스프링으로 하는 웹 개발이 복잡하고 거추장스럽지 않습니다.'
라며,
'오로지 Jar 하나만 있으면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거추장스럽던 수많은 설정이 자동화되어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거추장스럽던 수많은 설정이 자동화되어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라고 간략하게 스프링부트 사용법을 설명해준다.
나는 수업시간에 스프링부트를 이용해서 maven 프로젝트를 만들었고, 6가지 부가적인 의존성? 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켰다. 나는 정말 잘 배웠구먼!
뒤이어 저자는 설레이는 말을 해준다.
'이 책을 보고 나면 본인이 원하는 소규모 웹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localhost:8080 에서만 개발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URL 주소를 가지고 CI/CD 환경을 갖춘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무료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무료로 서비스를 출시하고 운영해볼 수 있습니다.'
두근거린다. 설레는 말이 끝도 없이 이어졌다.
웹서비스를 만들수있다 ?! 😳두근..!
실제 URL 주소를 가지고 ?! 😀두근두근..!!
무료로 서비스를 출시하고 운영해볼 수 있다 ?!!!! 😆꺅...!!!!!
우리가 원하는 모든 것을 말해줬다. 어떻게 알았지.
'이 책은 철저히 만드는 재미와 포트폴리오에 집중했습니다.'
두둥..!!
포
트
폴
리
오
?!
최고다...!
'대상 독자'에 이런 말이 적혀 있다.
'기초 자바 지식이 필요합니다. 단, 서블릿이나 JSP, 톰캣 등 기존에 자바 웹 개발에 필요한 지식은 상대적으로 덜 필요합니다. 알면 좋지만, 몰라도 ...'
수업에서 서블릿 JSP 톰캣 다 사용했던 것이다. 희한하게 하나도 기억나지 않지만... 뇌야, 힘을 내!
책의 구성에 이렇게 적혀있다.
'웹 서비스를 구축하려면 크게 두 가지 지식이 필요합니다. 서비스의 기능을 담당할 애플리케이션 개발 지식과,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서버 인프라 지식입니다.'
서버 지식은 전혀 하나도 모르는데... localhost:8080 밖에...
java8 ( jdk1.8 ) , gradle 4.8 ~ gradle 4.10.2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