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따라하기
아늬 인텔리는 만들어졌다는데 왜 깃허브 웹엔 안 만들어져있지? 커밋이랑 푸시를 또 해야하나? 아닌데 변경된게 없어서 할 게 없는데 그럼 변경된 걸 만들어서 푸시해볼까. 아닌데 로그보면 분명히 원격에 만들어졌는데 왜 웹엔 없지? 라고 혼자 고민했다.
나참~
그래서 시작하는
-
로 지운다.이렇게 해도 내가 아닌 누군가의 깃허브에 침투한 레파지토리가 지워지지는 않는다. 연동만 끊은거임. 몰래 못 지움🤣
바보 소리 한 번은 들어야 됨😂😂😂
git
을 검색해, github
에 들어간다.전에 했던 github 에 연동하기
차근차근 따라한다.성공적으로연동이 되었으면
수업에서 배웠듯이 .gitignore
파일은 원격 레파지토리 관리대상에서 제외할 목록을 적어놓는 거다. 인텔리제이는 이 파일에 대한 기본적인 지원이 없단다. 그래서 책을 따라 플러그인을 설치해보자.
지금 .gitignore 엔 이거 뿐임.
ctrl
+ shift
+ A
로 액션 검색창을 열자.plugin
을 검색하고 플러그인
을 클릭해 플러그인 설정창으로 들어간다.마켓플레이스
를 선택하고, gitignore
를 검색한다.ignore
라는 이름의 플러그인을 설치해준다....?
진짜 나한테 왜 이러지
하.. 🤦♂️
하지만 사나이는 멈출 수 없다.
진행시켜.
미리 만들어놓은 ignore 템플릿이 있다면 템플릿 선택 후 Generate
키를 누르고, 우리는 없으니 바로 Generate
키를 눌러준다.
바로 .gitignore 파일을 어디에 만들거냐 묻는다. 우리는 프로젝트 바로 아래에 만들어준다.
입력한다. .gradle
와 .idea
를 .gitignore
파일에.
나는 .gitignore
도 넣었다.
커밋한다.
성공
모든 개발 환경 설정이 끝났습니다! ... 책 후반부에서 깃허브에 푸시만 하면 바로 배포가 진행되는 환경을 구성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한 기반 작업이니 꼭 설정해서 진행하기를 추천합니다.
다음 장부터는 본격적으로 스프링부트 개발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예! 고생하셨습니다!
환경설정만 3일 걸림😂 책 페이지 아직 49페이지 🤣🤣
두근거리는 진짜 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