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 그리고 TCP/IP 4계층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을 표준화한 모델로, 통신 시스템을 7단계로 나누어 설명한 것
OSI 모델이 실무적으로 이용하기에 복잡해서 실제 인터넷에서는 이를 단순화한 TCP/IP 4계층을 사용
![](https://velog.velcdn.com/images/thsruddl77/post/dc3be3d4-e94c-410c-8a0b-9e4e0ceffd4f/image.png)
** MAC Address : 컴퓨터에 있는 네트워크 카드의 고유한 주소
> OSI 7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데이터의 형식을 정의하는 계층
- 압축, 암호화 담당
- 세션 계층(Session Layer)
- 컴퓨터끼리 통신을 하기 위해 세션을 만드는 계층
- 연결 설정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최종 수신 프로세스로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 양 종단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
- 단위 : Segment (Header + Data)
- 프로토콜 : TCP, UDP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패킷을 목적지까지 가장 빠른 길로 전송하기 위한 계층
- 빠르게 전달하는 목적이 있음
- 비연결성, 비신뢰성
- 단위 : Packet (Header + Segment)
- Packet의 경우 출발지IP, 목적지IP 주소를 포함
- 프로토콜 : IP, ICMP 등
- Router
- 데이터 링크 계층(DataLink Layer)
- 데이터의 물리적인 전송과 에러 검출, 흐름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
- 인접한 노드들 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
- 단위 : Frame (Header + Packet)
- 이더넷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주는 계층
- 단위 : bit
- 장비 : 허브, 리피터(증폭기 역할)
> TCP/IP 4계층
-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
- TCP 신뢰성있는 정보를 / IP 빠르게 전달한다.라는 의미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OSI 7계층에서 응용, 표현, 세션 계층을 묶은 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OSI 7계층의 전송 계층과 같은 계층
- 프로토콜 : TCP, UDP
| TCP
- 연결 지향
| UDP
- 비연결형
-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과 같은 계층
- 프로토콜 : IP, ICMP 등
| IP
- 빠르게 전달할 수 있게 주소값이 포함되어 있음
| ICMP
- 데이터를 보내다가 못 보냈을 때 나에게 다시 돌려줌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Network Access Layer)
- OSI 7계층에서 데이터 링크, 물리 계층을 묶은 계층
- 프로토콜 : 이더넷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