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엔터티는 인스턴스들의 집합이라고 하였다. 여러 개의 집합체를 담고 있는 하나의 통에서 각각을 구분할 수 있는 논리적인이름이 있어야 한다. 이 구분자를 식별자(Identifier)라고 한다.
② 엔터티내의 각 인스턴스를 개별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엔터티는 인스턴스의 집합이다. 이를 구별할 수 있는 것
유불최존
① 주식별자에 의해 엔터티내에 모든 인스턴스들이 유일하게 구분되어야 한다.
②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유일성을 만족하는 최소의 수가 되어야 한다.
③ 지정된 주식별자의 값은 자주 변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④ 주식별자가 지정이 되면 반드시 값이 들어와야 한다.
주식별자에 의해 엔터티내에 모든 인스턴스들을 유일하게 구분함
예) 사원번호가 주식별자가 모든 직원들에 대해 개인별로 고유하게 부여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유일성을 만족하는 최소의 수가 되어야 함
예) 사원번호만으로도 고유한 구조인데 사원분류코드+사원번호로 식별자가 구성될 경우 부절한 주식별자 구조임
주식별자가 한 번 특정 엔터티에 지정되면 그 식별자의 값은 변하지 않아야 함
예) 사원번호의 값이 변한다는 의미는 이전기록이 말소되고 새로운 기록이 발생되는 개념임
주식별자가 지정되면 반드시 데이터 값이 존재 (Null 안됨) 해야함
① 해당 업무에서 자주 이용되는 속성을 주식별자로 지정한다.
② 명칭, 내역 등과 같이 이름으로 기술되는 것들은 가능하면 주식별자로 지정하지 않는다.
③ 복합으로 주식별자로 구성할 경우 너무 많은 속성이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