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상식

Tiffany ·2024년 4월 26일
0

4차 산업혁명의 특징 -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 자율주행 자동차, 양자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나노테크, 빅데이터 등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혁명적인 기술 혁신.

빅데이터의 특징으로 3V란? Volumn, Velocity, Variety.

인공지능 - 인간의 지능이 가지는 학습, 추리, 적응, 논증 등의 기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 인공신경망(ANN), 자연어 처리, 음성 버역, 로보틱스, 등에 응용되고 있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특정한 상황/환경을 만들어 이용자가 상호작용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인터페이스. ex) 포켓몬 카드를 폰으로 스캔하면 화면에서 움직이는 모바일 어플.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머리에 착용하는 방식의 컴퓨터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해 인간이 보는 현실 환경에 컴퓨터 그래픽 등을 겹쳐 실시간으로 시각화 하는 기술. ex) 특히 안경의 형태가 많음.

혼합현실(Mixed Reality) - 가상현실+증강현실+혼합현실을 아우르는 확장된 ㄱ념으로 현실 공간에 배치된 가상의 물체를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등 극도의 몰입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이나 그러한 기술.

스푸핑 - 승인받은 사용자인 것처럼 위장해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네트웤상에서 하가된 주소에 위장해 접근 제어 목록(Access Control List)을 우피/회피 하는 공격 칩입 수법. 외부의 악의적 침입자가 네트워크에 침입해 임의로 웹 사이트를 구성해 일반 사용자들의 방문을 유도하고,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의 구조적 결함을 악용해 사용자 시스템 권한을 획득한 뒤 정보를 탈취 하는 해킹 수법.

스니핑 - 네트워크 통신망에서 오가는 패킷을 가로채 사용자의 계정과 암호 등을 알아내는 해킹 수법. 네트워크 트랙픽을 도청하는 행위로서 사이버 보안의 기밀성을 침해하는 대표적인 해킹 수법.

메타버스 - 가상세계과 현실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져 혼재하게 되는것.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세계가 현실세계에 흡수된 형태의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하며, 확장가상세계 라고도 부른다. 메타버스 내의 아바타가 상호 교류를 하며 현실처럼 활동한다. ex) 최근의 채용설명회 등

NFT(Non-Fungible Token) - 블록체인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암호 화폐. 일종의 디지털 등기권리증. 위조/복제가 불가능하며 NFT 마다 고유한 인식 값이 부여되어 있으며, 최초의 발행자와 소유권 이전 등 모든 거래 내역이 투명하게 공개 된다.

넷제로 -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이 동일하여 온실가스의 순 배출량이 제로가 되는 상태. 넷제로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6대 온실가스의 순 배출량을 제로로 만드는것을 의미한다.

운전자 지원 시스템 - 차량이 스스로 인지하고 판단하여 기계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 하는 시스템. 다양한 종류의 ADAS가 자동차에 탑재되어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ex) 보행자 탐지 및 회피,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차선 이탈 경보 및 자동 복귀 시스템, 교통신호 인식, 능동형 사각지대 감지.

웹 3.0 - 웹 이용자들의 데이터, 개인정보 등이 플랫폼에 종속되는것이 아닌 개인이 소유하여 데이터에 대한 주권이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형태의 웹. 현재까지의 웹은 중앙 집중 방식으로 구축되어 특정 사업자의 시장 우월적 지위를 활요한 개인 데이터의 독점과 오남용, 보안 최약점 노출, 불공정 거래,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고, 특히 플랫폼 기업들의 시장 우월적 지위를 활용한 데이터 독점이 가속화되어 플랫폼 중심의 광고 및 서비스 수익을 플랫폼 사업자가 독점할 수 있는 수익 분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웹 3. 0는 블록체인 등 분산화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 참여자들이 수익을 공유하는 새로운 형태의 웹 동작 모델로 사용자들이 데이터 개인정보 등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개인이 소유하고 보호하는 탈중앙화 웹 형태이다.

스타라이너 - 미국의 항공기 전문업체 보잉사가 개발하고 있는 우주인 수송용 캡슐.

제로 트러스트 - 사이버 보안 전문가이자 포레스터 리서치 수석 연구권인 존 킨더버그가 2010년에 제시한 사이버 보안모델. 신뢰가 곧 보안 취약점이라는 원칙을 내세워 내부에서 접속한 사용자에 대해서도 검증을 거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와이러닝 하니스 -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장치 등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배선뭉치로 인체의 신경망에 비유된다. 자동차 한대에는 약 1,500~2,000개의 전선이 필요한데 전선을 종류나 역할 드엥 따라 구분해 묶고 연결하여 정리해 노은 것이다. 특히 전기차나 자율주행차 등은 더 많은 센서가 필요해 와이어링 하니스도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AI 콘택트센터(AICC) - 인공지능을 통해 콜봇이나 챗봇이 고객의 질문에 답변하는 지능형 고객센터를 말한다. 주로 단순하고 반복적인 고객상담 업무에 도입해 업무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저긍로 활용되고 있으며, 고객센터 운영비용 삭감을 위해 많은 기업들이 도입하는 추세이다.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 음성, 시선, 표정 등 여러 입력방식을 융합해 인간과 컴퓨터가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말한다. 시각, 청각 등 다양한 감각기관을 상호작용해 사람처럼 사고하는 AI 기술로 2차원 평명 벙보를 3차원 정보로 추론/해석 할 수 있다.

하이퍼튜브 - 공기저항이 거이ㅡ ㅇ벗는 아진공(0.001~0.01기압) 튜브 내에서 자기력으로 차량을 추진 부상하여 시속 1,000km 이상으로 주행하는 교통시스템. 항공기와 유사한 속도로 달리면서 열차처럼 도심 접근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차세대 운송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메인넷 - 기존에 사용하던 플랫폼에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네트워크. 본래 실제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 버전의 네트워크를 뜻하는 용어였으나, 최근 블록체인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국내 게임사와 IT기업들이 늘어나면서 보안 및 서비스 고도화를 이유로 자체 개발한 메인넷을 출시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키홀(Key Hole) - 열쇠구멍으로 훔쳐 본다 라는 뜻으로 미국의 대표적인 정찰위성이다. 최대 600km 고도에서 지상에 있는 15cm 크기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광학카메라와 적외선카메라를 모두 장착하고 있어서 야간이나 구름이낀 흐린 날씨에도 지상감시가 가능하다.

세종1호 - 한컴의 우주사업 자회사인 한컴인스페이스가 개발한 한국 최초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이다. 크기 100x200x300mm 무게 10.8kg의 나노급 초소형 저궤도 인공위성.

디지털 유산 - SNS,블로그 등에 남아 있는 사진, 일기, 댓글 등 개인이 온라인상에 남긴 디지털 흔적. 국내에서는 살아 있는 개인에 한해 개인정보보호법이 적용되고 디지털유산을 재산권과 구별되는 인격권으로 규정해 상속규정에 대한 정확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디지털 뉴딜 - 한국판 뉴딜정책중 하나. 현재 세계 최고수준인 전자정부 인프라나 서비스 등의 ICT를 기반으로 디지털 초격차를 확대하는 것이다. 내용으로는 DNA(Data, Network, AI), 생태계강화,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사업 육성, SOC 디지털화가 있다.

디파이 (De-Fi) -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일컫는 말로, 정부나 기업 등 중앙기관의 통제 없이 인터넷 연결만 가능하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오컴퓨터(Biocomputer) - 생물의 세포에 들어 있는 단백질이나 효소를 사용한 바오이칩을 컴퓨터 내부 반도체 소자와 교체하여 조립한다.

다크 데이터 - 정보를 수집한 후, 저장만 하고 분석에 활용하고 있지 않은 다량의 데이터로, 처리되지 않은채 미래에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방치되고 있엇지만, 최근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이 발달하면서 방대한 양의 자료가 필요해졌고 이에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고 분석할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무어의법칙 - 반도체의 집적회로의 성능이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법칙이다. 이와 함께 언급되는 규칙으로 황의법칙(반도체 메모리의 용량이 1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이론)이 있다.

튜링테스트 - 기계가 인공지능을 갖추었는지를 판별하는 실험으로 1950년에 영국의 수학자인 앨런 튜링이 제안한 인공지능 판별법이다.

메칼프의 법칙 - 인터넷 통신망이 지니는 가치는 망에 가입한 사용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통신망을 이용하는 개개인이 정보의 연결을 통해 향상된 능력을 발휘 할 수 있게 되면서 네트워크의 효과가 증폭되기 때문이다.

PBV(Pupose Built Vehicle) - 목적 기반 모빌리티라는 뜻으로, 차량이 단순한 이동수단 역할을 넘어서 승객이 필요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공간으로 확장된 것. 개인화 설계 기반의 친환경 이동수다으로, 식당, 카페, 호텔 등 여가공간부터 병원, 약국 등 사회 필수 시설까지 다양한 공간으로 연출되어 고객이 맞춤형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해준다.

코드컷팅(Cord-Cutting) - 케이블tv 가입을 해지하고 인터넷티비나 동야상 스트리밍 서브스등으로 옮겨가는 것을 말한다. Tv 선을 자르지 않고 OTT 서비스에 추가로 가입하는 것을 코드스태킹(Cord-Stacking) 이라고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 정보처리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인터네으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핵심 기술은 가상화와 분산처리로 어떠한 요소를 기반으로 하느냐에 따라 소프트웨어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인프라 서비스로 구분한다.

SOAR(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and Response) -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동화, 보안 사고 대응 플랫폼,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의 세 기능을 통합한 개념이다.

서비스형 블록체인 (BaaS; Blockchain as a Service) - 서비스형 블록체인은 개발 환경을 클라우드로 서비스하는 개념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를 추가하고 제거하는 일이 간단해져서 블록체인 개발 및 구축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데이터 레이블링 - 인공지능을 만드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작업이다. 각 영상에서 객체를 구분하고, 객체의 위치와 크기 등을 기록해야 한다. 명칭을 달아주는 작업이다.

차량/사물 셀룰러 통신 (C-V2X, Celluar Vehiche-to-Everythiing) - LTE, 5G와 같은 셀룰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교통 인프라, 보행자, 네트워크 등과 정보를 서로 주고받는 차량 통신 기술로 차량 안전 향상, 자율주행, 군집 주행 등에 활용된다.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 분산 네트워크 참여자가 거래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원장을 공동으로 분산/관리하는 기술. 거래 정보를 공동으로 분산/관리하기 때문에 위조를 방지할 수 있고 투명하게 관리 할 수 있다.

생성적 대립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 생성모델과 판별모델을 대립적 프로세스를 통해 발전시키는 과정으로 가까운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 실제 예제와 매우 비슷한 유사품을 생성하는 기계학습 방식의 하나이다.

지능형에이전트 - 사용자의 개입없이 업무를 수행하는 인공물. 센서를 이요하여 주변 환경을 탐지하고 자율적으로 가장 적절한 행동을 한다.

컴퓨터 시각 (CV; Computer Vision) - 사람이나 동물 시각 체계의 기능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로봇이나 자율 주행 자동차와 같은 지능형 에이전트 구현에 꼭 필요하며, 위성사진 분석이나 자동차 번호판 인식, 공장에서의 제품 검사등과 같은 작업에 활용한다.

머클트리 - 블록체인에서 블록하나에 포함된 모든 거래 정보를 암호화 기법을 통해 요약하여 트리 혀애로 표현한 데이터 구조.

개방형 블록체인 - 블록체인 시스템 사용자라면 누구나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

비허가형 ㅂ르록테인 - 허가 없이 사용하거나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Brain-Computer Interface) - 뇌파 등 인간의 뇌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해석하고 이를 활용해 컴퓨터등 외부 기기를 제어하거나 외부 신호를 이용하여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기술.

암호화폐지갑 -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거래하기 위해 공개키와 개인키를 저장하는 지갑.

이노드비 (eNodeB; Evoloved Node B) - 이동 통ㅇ신 사실 표준화 기구인 3GPP에서 사용하는 공식 명칭으로 기존 3세대 이동통신 기지국의 이름 Node B 와 구별하여 LTE의 무선 접속망 기지국을 이노드비라 한다.

러스크 프로그래밍 -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에 속하며 병렬처리 프로그래밍 제공이 강점이며 모질라 리서치에서 개발한 범용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공개소스이다.

고 프로그래밍 - 멀티코어 지원, 프로그램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구글에서 개발한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정적타입 언어(Static Type Language)로 설계하여 실행시간 효율성을 높이고, 시스템 및 메모리 최적화, 프로세스 병행 처리 등을 제공하여 효율성이 좋고, 초보자도 배우기 쉽도록 프로그래밍 문법을 단순하게 한 것이 특징.

만리방화벽 - 중객 내에서 일부 외국 사이트에 접속 할 수 없도록 하는 중국 정부의 인터네 감시/검열 시스템이다.

와이선(Wi-SUN) - 사물인터넷의 서비스 범위가 확대되면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넘어선 저전력 장거리(LPWA; Low-Power Wide Area) IoT 기술이다.

지능정보화 기본법 - 4차 산업혁명의 효율 대응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체계 정비 및 인프라 및 산업/사회 변화를 규율하기 위한 법이다.

필터 버블 - 인터넷 정보제공자가 이용자의 관심사에 맞춰진 정보를 제공해 이용자는 필터링된 정보만을 접하게 되는 현상이다. 인식으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메시 네트워크 - 특수 목적을 위해 인터넷망을 이용하지 않고 다대다 디바이스 간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징(Zing) - 10cm 이내 근접 거리에서 3.5Gbps의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초고속 근접통신기술이다.

티비바(TIVIVA) - 지상파 3사가 제작하는 모든 초고선명(UHD) 콘텐츠의 실시간 방송과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이다.

정부사물인터넷망 - 정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연계해 기관별 IoT 서비스 현황을 통합 관리하는 인프라이다.

디지털 대사 - 정보기술 기업과의 외교교섭을 전담하는 대사.

원격 e심 - 원격으로 가입자 등록을 할 수 있는 내장형 가입자 식별 모듈이다.

와이파이6 - 기존의 최고속도 1Gbps 인 기가 인터넷보다 10배 빠른 최고 속도 10Gbps 를 내는 무선랜과 무선공유기이다.

폼팩터 - 하드웨어 제품의 크기나 구성, 물리적 배열을 의미. 보통 크기, 슬롯 형태 등 컴퓨터 하드웨어의 규격을 지칭할 때 많이 사용되고 최근에는 디지털 기기 전반에 걸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밀리미터파 - 주파수가 30~300기가헤르츠 대역이고, 파장이 1~10 밀리미터인 극고주파를 파장으로 구분하여 부르는 명칭이다.

에지 컴퓨팅 - 다양한 단말 기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클라우드와 같은 중앙 집중식 데이터 센터로 보내지 않고 단말기 주변이나 닫ㄴ말기 자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흐름 가속화를 지원하는 컴퓨터 방식이다.

매크로 금지법 - 자동 반복 수행 프로그램인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댓글 등의 정보통신 서비슬르 조작하지 못하도록 규정하는 법률이며, 중복규제와 법안 불명확성 등의 문제로 아직 법안이 통과하지 못했다.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 소프트웨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국민생활의 향상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이다.

망 중립성(Network Neurality) - 통신망 제공사업자는 모든 콘텐츠를 동등하고 차별 없이 다뤄야 한다는 정책.

오픈 API - 데이터 플랫폼을 외부에 공개하여 외부 개발자나 사용자들이 다양한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사이버 먼데이 - 주요 업체들이 연휴를 마치고 일상으로 복귀한 고객들을 상대로 온라인상에서 할인 행사를 벌이는 날.

데이터 3법 -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세가지 법의 개정안을 일컫는 말.

디지털세 - 디지털 매출에 법인세와는 별도로 부과하는 세금.

디지털 치료제 - 약물은 아니지만 의약품과 같이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

디지털 아카이브 - 정보들을 디지털화하여 항구적인 기록과 보존 및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분산신원확인(DID; Decentralized IDentity) - 개인의 기기에 신원 정보를 분산시켜 관리하는 전자신분증 시스템으로, 이를 활용하면 개인이 개인정보를 통제하는 권리를 갖게 된다.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 영화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전송해 주는 통신망 체계.

테크핀 - 정보기술업체가 주도하는 기술에 금융을 접목한 것.

오픈뱅킹 - OS나 웹브라우저에 관계없이 쓸 수 있는 인터넷 뱅킹 서비스이다. 실시간 금융서비스.

플릿 오페레이터 (Fleet Operator) - 이동 및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 차량 또는 운송수단을 소유한 사업자. 예) 항공사, 렌터카 회사 부터 우버나 승차공유 플랫폼.

뉴로모픽 반도체 -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해 만든 반도체로 딥러닝과 같은 인공지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차, 드론, 음성인식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

3D 바이오프린팅 - 3D 프링팅 기술을 활용해 조직, 장기 등을 인쇄하여 이식하는 기술. 환자의 세포를 배양해서 이삭하기 때문에 부작용과 2차 감염을 줄일 수 있어 동물/사람의 것을 이삭하는 것보다 안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HDR 10+(Hight Dynmic Range 10+) - 명암비를 더욱 극대화.

알레프 - 슈퍼컴퓨터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누리온, 기상청의 누리와 미리에 이어 국내 공공기관이 이용하는 세번째 슈퍼컴퓨터이다.

팹리스(Fabless) - 반도체 생산을 파운드리에 맡기는 기업.

핀테크 랩 - 금융 기업이 만든 핀테크 지원센터

인슈터테크 - 보함과 기술의 합성어로 정보기술을 상품개발, 계약체결, 고객관리와 같은 보험업무 전반에 융합하는 것을 뜻한다.

파밍 -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사용자의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도메인 네임 시스템 또는 프락시 서버의 주소를 변조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진짜 사이트로 오인하여 접속하게 한후,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여 개인정보를 훔치는 컴퓨터 범죄 수법.

RFID(Rat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 - 반도체 칩에 내장된 태그, 라벨, 카드 등의 저장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시스템.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 기업들이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의 기술과 아이디어, 연구개발 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 기술을 발전 시킬수 있다는 혁신 이론.

애그테크 - 농업과 기술의 합성어로, 첨단기술을 농산물 생산에 적용하는 것을 뜻한다.

인포데믹스 - 추측이나 뜬소문이 덧붙여진 부종확한 정보가 IT 기기나 미디어를 통해 전염병처럼 확산되면서 개인의 사생활 침해는 물론 경제, 정치, 안보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 - 인터넷과 IT 기기를 이용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여기저기 이동하며 업무를 보는 디지털 유목민.

화이트 박스 암호 - 암호화 키에 대한 유추를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 키 정보를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섞는 방법으로 공격자가 알고리즘 내부 동작을 분석하더라도 암호화 키를 쉽게 유추 할 수 없도록 하는 기술.

캄테크 - 센서와 컴퓨터, 네트워크 장비등을 보이지 않게 탑재하여 평소에는 존재를 드러내지 않지만, 필요 할 때 사용자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텔레매틱스 - 차량 무선인터네 서비스

뱅크사인 - 기존의 공인인증서 시스템 대체제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전자거래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인 은행권 인증 서비스.

프로그래매틱 바잉 - 알고리즘이 이용자의 검색 경로 검색어들을 분석해 광고를 자동적으로 띄우는 방식. (개인적으로 매우 불편)

디지털 트위 - 가상공간에 실물과 똑같이 구현한 것. 실제 제품을 만들기 전 모의시험을 진행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프롭테크 - 첨단 정보기술을 결합한 부동산 서비스.

8K - 8K는 8,000 픽셀의 해상도.

헤드업 데스플레이 - 차량의 속도, 연료 잔량, 길 안내 정보 등을 운전자의 가시영역 내인 유리창에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

앱카드 - 신용카드를 온라인이나 모바일 앱에 등록해 바코드, 근접무선통신(NFC)로 간편하게 결제 할 수 있도록 한 카드.

eMMC(embedded Multil Media Card) - 내장형 멀티미디어 카드라는 의미로,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에 내장하는 메모리 반도체.

지오펜싱 - 위치정보 솔류션에 바탕을 두고 반경을 설정하여 특정 대상이 범위 안에 있는지 없는지를 분서하는 기술

스낵컬쳐 - 과자를 먹듯 짧은 시간 동안 문화 생활을 즐기는 새로운 문화 트렌드.

프로젝트 룬 - 열기구 등을 높은 고도에 띄워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는 오지가지 무선 인터넷을 보급하기 위한 구글의 프로젝트.

손말이음센터 -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운영하는 기관으로 청각/언어장애인의 통신서비스 이용을 지원하기 위해 중계사가 수어나 문자로 의사소통을 중계하는 기관.

어뷰징 - 언론사가 의도적 검색을 통한 클릭수를 조작하기 위해 동일한 제모의 기사를 지속적으로 전송하거나 인기검색어를 올리는 행위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 성공 가능성은 낮으나 혁신적 기술개발에 도전 할 수 있도록 산업통상자원부가 산업 연구개발 과제를 선정해 지원하는 사업.

실버서퍼 - 인터넷, 스마트폰 등 스마트기기를 능숙하게 조작하고 활용하는 고령층

플로팅 홀로그램 - 바닥 스크린에 반사된 영상이 투명한 포일에 맺혀 허공에 떠 있는 듯한 형상을 만들어 내는 기술.

고효율 이미지 파일 포맷 (HEIF; High Efficientcy Image File Format) - 기본 이미지 파일 형식보다 이미지 파일 용량을 2배가량 줄이면서도 동일 수준 이상의 품질을 제공.

다크패턴 - 사람들을 속이기 위해 디자인된 인터페이슬르 의미. 사용들을 은밀히 유도해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에 가입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뜻함. 예시) 인터파크 도서 주문중 발견해서, 인터파크 앞으로 사용 안함.

실리콘칼라 (Silicon Collar) - 실리콘처럼 창의적인 사고와 뛰어난 컴퓨터 실력으로 생산성을 향사시키는 고급 두뇌 노동자.

로보틱 처리 자동화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 반복되는 단순 업무를 자동화하여 빠르고 정밀하게 자동 수행하는 기술.

스몰라이센스 - 핀테크 업체가 금융업에 필요한 자격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필요한 업부만 신속하게 인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

핵티비즘 - 정치/사회적인 목적을 위해 정부나 기업/단체 등의 인터넷 웹사이트를 해킹하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웹사이트를 무력화하는 행위.

브루트 포스 공격 - 암호 키를 찾기 위해 모든 경우의 수를 무작위로 대입하여 암호를 푸는 공격 방법.

디지털 발자국 - 소비자가 여러 홈페이지에 로그인하거나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등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웹상에 남겨놓은 구매 패턴, 결제 방법, 구매이력 등 다양한 디지털 기록을 일컫는 말.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언어 - 오픈소스로 전환되어 애플 운영체제 뿐만 아니라, 리눅스, 안드로이드,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도 이용 할 수 있다.

EMCP(Embeded Multi-Chip Package) - 모바일 D램과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패키지로 묶어 제작한 단일 칩으로 반도체를 따로 쓰는 것보다 속도가 빠르다.

마그네틱 안전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 루프 안테나와 신용카드 정보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마그네틱 결제 단말기에 대면 신용카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시켜 결제되는 방식.

비트 오류율 - 1과 0으로 된 2진 데이터가 통신 회선이나 기억 장치에서 잘못된 데이터로 변한 확률.

라이파이 - 무선랜인 와이파이의 100배 무선통신중 가장빠른 LTE-A 보다 66배나 빠른 솓고를 자랑하는 무선통신 기술

머신러닝, 딥러닝 - 인간의 학습 능력과 같은 기능을 컴퓨터에서도 실현하여 스스로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술.

레그테크 - 규제와 기술의 합성어로 AI를 활용해 금융회사로 하여금 복잡한 금융규제를 쉽게 이해하고 지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시스템 트레이딩 - 일정한 매매규칙하에 매도나 매입을 판단하도록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주식을 운용하는 매매방법.

마이데이터 - 개인이 각종 기관과 기업에 산재하는 신용정보등 개인정보를 지겆ㅂ 관리.통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중앙은행 디지털 활폐 -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전자적 형태의 화폐.

태크래시 - 기술과 반발의 합성어로 세계 최대 IT 기업들에 대한 반발.

언택트 - 사람과 사람끼리 직적 대면하지 않거나 최소하는것.

하이프 사이클 - 기술의 성숙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그래프.

킬 스위치 - 스마트폰을 도난당하거나 분실한 경우 스마트폰을 원격으로 제어해 잠그거나 초기화해서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업섹 하는 기술.

프락시(Proxcy) - 분산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해 서비스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원격으로 서버에 요청한 파일 등의 자원들을 프락시 서버에 임시로 저장해 두었다가 클라이언트가 같은 자원을 재요청 하면 원격 서버에 접속할 필요 없이 프락시 서버 내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시간과 외부 트래픽 감소, 서버의 네트워크 병목 현상 방지 등을 기대할 수 있다.

profile
Love what you do and don't qui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