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y ai 4기 4주차 day 19 : Cloud

이성원·2024년 1월 15일
0
post-thumbnail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 Infrastructure as a Service(IaaS, 아이아스, 이에스)서비스로 제공되는 인프라스트럭처이다. 개발사에 제공되는 물리적 자원을 가상화한다.

  • Platform as a Service(PaaS, 파스)서비스로 제공되는 플랫폼이다. 개발사에 제공되는 플랫폼을 가상화한다.

  • Software as a Service(SaaS, 사스)서비스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이다. 고객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가상화한다.

1. Azure Cloud 실습

powershell 리소스 관리

리소스 그룹 만들기

$location='koreacentral'
$rgName='edu-destination_lsw2-rg'
New-AzResourceGroup -Name $rgName -Location $location
PS /home/azueruser> $location='koreacentral'            
PS /home/azueruser> $rgName='edu-destination_lsw2-rg'
PS /home/azueruser> New-AzResourceGroup -Name $rgName -Location $location

ResourceGroupName : edu-destination_lsw2-rg
Location          : koreacentral
ProvisioningState : Succeeded
Tags              : 
ResourceId        : /subscriptions/f5bc93f2-df0a-4b1a-ab9e-2b0203fc7d26/resourceGroups/edu-dest

리소스 디스크 만들기

$location='koreacentral'
$rgName='edu-destination_lsw2-rg'
PS /home/azureuser> $diskConfig = New-AzDiskConfig `                                                                     >> -Location $location `
>> -CreateOption Empty `
>> -DiskSizeGB 32 `
>> -Sku Standard_LRS `

PS /home/azureuser> $diskName = 'edu_ps_disk'
PS /home/azureuser> New-AzDisk ` 
>> -ResourceGroupName $rgName ` 
>> -DiskName $diskName `
>> -Disk $diskConfig

비동기로 리소스 그룹 삭제

az group delete --name edu_destination_lsw2_rg --no-wait --yes

ARM 뎀플릿

  • 선언적 구문 사용과 일관되고 반복적인 베포 가능
  • CI/CD 통합
  • 오케스트레이션 (Orchestration)

Azure 스토리지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데이터

정형데이터

  • 고정된 칼럼에 저장되거나 정해진 스키마에 의해 구조화 되어짐
  • RDBMS 테이블, 스프레드 시트

반정형 데이터

  • 스키마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기 내부에 존재
  • HTML, XML, JSON, YAML ...

비정형 데이터

  • 데이터가 그 자체로 존재, 구조화안됨
  • 문서, 동영상, 이미지 등과 같은 이진 데이터

스토리지 서비스

Azure 컨테이너(Blobs)

  • 구조화되지 않은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최적화
  • 비정형 데이터
  • 브라우저로 이미지, PDF문서 등을 직접 액세스 가능하게 함

Azure Files

  •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 배포에 대한 관리되는 파일 공유

Azure 큐

  •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 간에 안정적인 메시징을 위한 메시징 저장소

Azure 디스크

  • Azure VM용 블록 수준 스토리지 볼륨

파일 공유

  • SMB(Server Message Block)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파일 공유 기능 제공
  • VM간 같은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공유하고 파일에 대한 읽기/쓰기 가능

  • 로그나 데이터 파일들을 공유하여 추후 분석 가능

  • ftp 포트가 열려있어야 가능함

파일 공유 과정

  1. VM 생성

  2. RDP 다운로드

  3. 파일 공유 폴더 생성

  4. 파일 공유 폴더 스크립트 VM WINDOW POWERSHELL에 복사 붙여넣기

  5. 파일 공유 폴더에 이미지 업로드

  6. VM 폴더에서 이미지 확인

profile
개발자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1월 16일

청천동화이팅!!

답글 달기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