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후기]기계과 ADSP 시험 합격 후기

1

시험 후기

목록 보기
1/3

08번째 게시물

안녕하세요 이번게시물에서는 ADSP 시험 응시 후기에 대해서 서술하려고 합니다.
저는 빅데이터 분석기사 필기 시험을 합격한 뒤 이 시험을 보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빅데이터 분석기사 시험을 이미 보신 분들이 추가적으로 자격증을 딴다면 참고할만할 것 같고, 두 가지 시험의 차이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따끈따끈하게 직접 경험한 시험의 차이들을 서술하겠습니다.

1. 공부기간

퇴근 후에 3일 매일 2시간 정도 공부하였습니다.

2. 공부방법

빅데이터 분석기사와 ADSP시험은 매우 유사하다는 얘기가 많았기 때문에 그 이점을 최대한 살리고 짧은 기간내에 끝내고 싶어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를 진행했습니다.

1) 1,2 단원 빠르게 훑기
3단원 같은 경우에는 주로 이론적인 내용이 많다 보니 이미 대부분 아는 내용이라 따로 공부하지 않았고 주로 암기할 것이 많은 1,2단원의 경우 빠르게 훑어보면서 까먹은 부분들만 remind하고 끝냈습니다.

2) R 코딩, R활용 데이터 분석 부분 버리기
ADSP시험과 빅데이터 분석기사와의 큰 차이점 중에 하나인데 실제 R프로그램을 활용한 코딩 및 통계분석결과에 대한 문제가 출제됩니다. 하지만 그 비중이 매우 작기 때문에 R부분을 따로 공부하기 보다는 기본적으로 알고있는 통계지식을 활용하여 풀되 틀려도 큰 의미를 두지 않으면서 공부를 했습니다.

3) 주관식 부분 집중 공부
이것 또한 큰 차이점 중에 하나인데 ADSP는 단답형 문제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대충알고 넘어가는 부분이 많아지면 단답형에 불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ADSP는 시중에 풀려있는 기출문제도 많기 때문에 저는 개념을 따로 공부한다기보다는 기출문제들 중 단답형 문제들을 모은 뒤 반복해서 외우면서 공부를 진행했습니다.

3. 빅데이터 분석기사 필기 시험 VS ADSP 현장 체감 차이

1) 난이도
22년 하반기에 두가지 시험을 1달간격으로 본사람의 입장에서 두 시험의 난이도에서 비교를 해보면 체감상 빅데이터 분석기사가 훨씬 난이도가 더 어려웠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문제도 빅데이터 분석기사는 4지 선다 문제에서 굉장히 헷갈리는 보기들이 많았었는데 ADSP는 문제의 4지 선다 보기 중에 말도 안되는 보기들을 제시하여 정답을 고르기가 굉장히 쉬운 느낌이었습니다.

2) 단답형 문제, R코딩 문제 유무
ADSP는 단답형 문제가 존재하는데 이를 부담스러워 하실 수도 있지만 실제 시험을 본 입장에서는 오히려 굉장히 쉬웠습니다. 단답형이랑은 특수성때문인지 대부분 문제를 기출문제에서 그대로 내서 실제 시험을 볼 때에는 모르는 단답형문제는 없었습니다.
또한 R문제도 제 기억상 1문제정도 나왔던 것 같아 시험의 당락에 큰 의미를 두지 않을 것 같아 크게 공부할 필요가 없는 것 같습니다.

3) 문제 유형
똑같은 통계에 대한 문제라도 ADSP는 단순히 암기 위주의 문제가 많이 나왔지만 빅데이터 분석기사는 개념을 이해해야 풀 수 있는 문제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또한 ADSP는 단순한 평균 및 Confusion matrix정도의 계산문제만 나온 반면에 빅데이터 분석기사는 MSE, Z-정규분포 확률 값 계산 등 조금 더 계산식이 어려운 계산도 요구했던 것 같습니다.

4) 이전 기출문제 반영 정도
빅데이터 분석기사는 기출문제가 조금 적다 보니 그럴 수 도 있겠는데, 예전에 반영된 문제들이 똑같이 나오는 경우는 드물었지만 ADSP의 경우에는 보기까지 똑같이 나온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시면 더욱 빠른시간에 좋은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4) 총평
ADSP는 빅데이터 분석기사 필기시험보다 훨씬 쉬우며 특히 빅데이터 분석기사보다 더욱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R부분은 통계결과만 살펴보시고 깊게 공부하지 않아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4. 시험 결과

시험 결과는 안정적으로 합격했습니다.

profile
재미로 해보는 다양한 AI프로젝트 모음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