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위에서 돌아가는 HTTP를 기반으로 통신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인증, 오류 수정 등을 포함한다.Connectionless 와 Stateless연결을 유지하지 않고 필요할 때 만 연결되어 통신HTTP는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다.모든 요청을 서로 연관성을 가지
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약자로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기술하기 위한 언어이다.다른 종류의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쉽게 주고 받을 수 있게 하여 HTML의 한계를 극복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XML 문서는 HTML 문서와 마찬가지로 트리 형태로 되어
WWW : World Wide Web. 팀 버너스리가(Team 아님) 처음 개념을 만들고 구현했다.웹과 인터넷은 다르다.웹의 동작 3요소HTTP : 주고받는 형식 HTML : 내용을 표현하는 방식 URL : 고유한 리소스를 표시하는 주소 방식클라이언트 : 서버에 URL
웹 페이지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작업.Swift에서는 Selenops, SwiftSoup 등의 패키지를 활용해 구현할 수 있다. 크롤링 전에 먼저 웹 사이트 url 마지막에 /robots.txt을 입력하여 크롤링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아직은 권고 사항이다.)
웹 브라우저는 User-Agent라고도 함.HTML을 요청하여 받아온다.HTML에서 CSS, js, img에 대한 링크 정보를 추출한다.추출한 정보의 URL(src 속성값)을 이용해서 새로운 요청을 보낸다.웹 자원을 받아와서 렌더링을 시작한다.v1.1 은 Pipelin
세션이란 두 호스트 간에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논리적인 연결 상태를 말한다. 세션에 대해 자세히 알기 위해선 먼저 OSI 7계층과 TCP/IP 5계층에 대해 알아야 한다. OSI 7계층과 TCP/IP 5계층 학교에서 컴퓨터 네트워크를 배울 땐 보통 OSI 7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