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알고리즘 002 | 카드역배치(정올기출)

박서연·2023년 1월 31일
0

CodingTest

목록 보기
5/17

0. 카드역배치 (정올기출)

1부터 20까지 숫자가 하나씩 쓰인 20장의 카드가 아래 그림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한 줄로 놓여있다. 각 카드의 위치는 카드 위에 적힌 숫자와 같이 1부터 20까지로 나타낸다.

이제 여러분은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카드의 위치를 바꾼다: 구간 [a, b] (단, 1 ≤ a ≤ b ≤20)가 주어지면 위치 a부터 위치 b까지의 카드를 현재의 역순으로 놓는다.
예를 들어, 현재 카드가 놓인 순서가 위의 그림과 같고 구간이 [5, 10]으로 주어진다면, 위치5부터 위치 10까지의 카드 5, 6, 7, 8, 9, 10을 역순으로 하여 10, 9, 8, 7, 6, 5로 놓는다.
이제 전체 카드가 놓인 순서는 아래 그림과 같다.

이 상태에서 구간 [9, 13]이 다시 주어진다면, 위치 9부터 위치 13까지의 카드 6, 5, 11, 12,13을 역순으로 하여 13, 12, 11, 5, 6으로 놓는다. 이제 전체 카드가 놓인 순서는 아래 그림과 같다.

오름차순으로 한 줄로 놓여있는 20장의 카드에 대해 10개의 구간이 주어지면, 주어진 구간의순서대로 위의 규칙에 따라 순서를 뒤집는 작업을 연속해서 처리한 뒤 마지막 카드들의 배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설명
총 10개의 줄에 걸쳐 한 줄에 하나씩 10개의 구간이 주어진다. i번째 줄에는 i번째 구간의 시작 위치 ai와 끝 위치 bi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이때 두 값의 범위는 1 ≤ ai ≤ bi ≤ 20이다.

▣ 출력설명
1부터 20까지 오름차순으로 놓인 카드들에 대해, 입력으로 주어진 10개의 구간 순서대로 뒤집
는 작업을 했을 때 마지막 카드들의 배치를 한 줄에 출력한다.

1. 내 코드

card = list()
for i in range(1,21):
    card.append(i)
print(card)

#2. 입력
num = 1
while (num < 11):          
    a, b = map(int, input("구간 입력: ").split())   
    ch_list = card[a-1:b]                   
    ch_list.reverse()                    
    card[a-1:b] = ch_list                
    num += 1
print(card) 

2. 풀이

a = list(range(21)) # 자동으로 0부터 20까지 리스트가 생김
for _ in range(10): # i 대신 _를 적게 되면 변수 없이 범위만큼 반복하게 됨
    s, e = 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e-s+1)//2):
        a[s+i], a[e-i] = a[e-i], a[s+i]

a.pop(0)

for x in a:
    print(x, end = ' ')

3. 반성점

  • 인덱스와 숫자 자체를 헷갈리지 말 것

4. 배운점

  • for _in range(횟수)는 변수 없이 해당 횟수 반복 가능
  • 파이썬은 위치를 변화시킬 때 여러개를 한 번에 변화시킬 수 있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