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프로젝트의 개요manifestAndroid 시스템에 앱에 대한 필수 정보가 담긴 파일이 존재합니다. (앱에 필요한 권한 등)javaAndroid 앱의 모든 주요 Kotlin 코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resAndroid의 리소스 는 앱에서 사용되는 정적 콘텐츠입
뷰, 뷰그룹 사용법액티비티에서 뷰들을 정렬하는 법스크롤이 가능한 콘텐츠에서 스크롤뷰 사용하는법뷰의 visibility를 바꾸는법문자열과 디멘션 리소스를 만들고 사용하는법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레이아웃 에디터로 리니어 레이아웃 만드는법ViewGroupViewGroup은 자식
Activity 내에서 Fragment를 만들 수 있다.Fragment는 Activity에서 동작 또는 UI(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나타냅니다. Fragment는 앱 UI의 재사용 가능한 부분입니다. Fragment는 자체 레이아웃을 정의 및 관리하고 자체 수명
Android Studio Logcat 창(Android 콘솔 또는 Android 모니터라고도 함)에 로깅 정보를 인쇄하는 방법.Activity 및 Fragment lifecycle의 기본 사항Activity가 liftecycle 상태 간에 이동할 때 호출되는 콜백Ac
안드로이드에서 라이프 사이클은 라이프 사이클을 갖는 컴포넌트(액티비티, 프래그먼트)가 처음 초기화될 때부터 마지막으로 파괴되고 시스템이 메모리를 회수할 때까지 컴포넌트가 거칠 수 있는 다양한 상태를 말합니다.안드로이드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상태에 맞는 콜백 메서드가 정의
앱 아키텍처는 코드가 구성되고 특정 시나리오에서 잘 수행되며 작업하기 쉽도록 앱의 클래스와 이들 간의 관계를 디자인하는 방법입니다. Android 앱 아키텍처는 MVVM(model-view-viewmodel) 아키텍처 패턴과 유사합니다.GuessTheWord 앱은 관심
LiveData LiveData는 수명 주기를 인식하는 관찰 가능한 데이터 홀더 클래스입니다. 예를 들어, GuessTheWord 앱에서 현재 점수 주위에 LiveData를 래핑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LiveData의 몇 가지 특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Live
앱에서 뷰는 XML 레이아웃에 정의되고 해당 뷰의 데이터는 ViewModel 개체에 보관됩니다. 각 뷰와 해당 ViewModel 사이에는 UI 컨트롤러가 있으며, 이는 그들 사이에서 중계기 역할을 합니다.For example:Got It 버튼은 game_fragment
안드로이드 공식문서의 내용을 정리한 자료입니다.ViewModel은 Activity 또는 Fragment에 대한 데이터를 준비하고 관리하는 클래스입니다. 또한 나머지 애플리케이션과 Activity/Fragment의 통신을 처리합니다(예: 비즈니스 로직 클래스 호출).Vi
이 자료는 Android Kotlin 기초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Android에서 데이터는 데이터 클래스로 표현됩니다. 이 데이터는 함수 호출을 사용하여 액세스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 세계에서는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수정하기 위해 엔터티와 쿼리가
Room은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이다.Room은 SQLite를 완벽히 활용하면서 원활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SQLite에 추상화 계층을 제공합니다.Room 사용 시 이점(SQLite API를 바로 사용했을 때에 비해)
레이아웃 xml에 리사이클러 뷰 추가. 메인 레이아웃 안에 넣어야함.리사이클러 뷰는 컨테이너일 뿐, 하부구조 만들어야함.(뷰홀더, 어댑터)어댑터를 만드는게 리사이클러 뷰의 핵심
레트로핏이란 안드로이드에서 REST API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이다.현재 안드로이드에서 HTTP 통신 라이브러리 중 가장 많이 사용된다.빠르다: AsyncTask가 없어서 빠르다고 한다.구현이 편하다: 대부분의 반복적인 구현을 라이브러리에서 해주기 때문에 구현
우리가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다보면 데이터를 로컬 DB에서 가져오기도 하고, 네트워크에서 받아오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데이터는 여러가지 형태를 갖게 된다. Repository는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 사이에 존재하며 이렇게 분리된 데이터 형태를 하나의 데이터 형식으로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책을 읽으면서 실습을 진행하던 도중 startActivityForResult가 deprecated 됐다고 IDE 경고가 떴습니다.무엇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는지 궁금해서 공식 문서를 뒤져봤습니다. 공식 안드로이드 문서에서는 AndroidX Activi
문자 내용을 읽어와서 RecyclerView로 뿌려주는 기능을 개발하면서 RecyclerView와 DiffUtil을 ListAdapter 함께 사용했습니다. 항상 최근 대화를 보여주고 싶어서 RecyclerView의 scrollToPosition을 사용했는데 제대로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