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java 웹개발 교육을 듣고있습니다.스스로 복습 차원에서 학원에서 배운 내용을 올리고, 확실히 이해하고 넘어가기 위해 글을 작성합니다. 변수는 비어있는 메모리 공간에 이름표를 붙여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을 만드는 것 입니다. 위에서 price, x,
조건문이란?특정 조건에 따라서 실행의 흐름을 달리해야하는 경우에 사용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실행을 할 수 있는 구문if, else , else if, switch문 등의 명령 키워드를 사용!if문과 같은경우에는 만약 조건문이 true라면? 조건절 실행.
지역변수란? 한정된 지역에서만 사용하는 변수전역변수란?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되는 변수지역변수는 method영역 안에 있는 것이어서 그 method내에서만사용되는 변수고,전역변수는 method영역 밖에 있어서 method영역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되는 변수입니다.한 클래
==와 !=로 비교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데이터 주소를 비교하여 동일한 객체인지 검사 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자열을 비교할 때에는 equals메소드나 compareTo 메소드를 사용한다.equals메소드는 위의 코드처럼 사용하며, 문자열의 내용을 비교할 때에 사용한다.
객체는 현실세계에서 연필, 사과, 책 처럼 어떤 사물을 소프트웨어에서도 그런식으로 사용하고 싶어서필드(속성)과 메소드로 모델링 한 것입니다.상태를 필드로 정의하고 동작을 메소드로 정의함필드는 객체 내부에 선언된 변수를 의미하고, 메소드는 객체 내부에 정의된 동작을 의미
코드로 설명해보았습니다. 제 코드에 보면 public class가 한개 뿐인데요그 이유는 하나의 파일에 클래스가 둘 이상 있다면, 하나만 public으로 선언할 수 있고 해당 클래스 이름은 소스 파일 이름과 동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객체는 new키워드를 통해서 생성할
repeat 문을 사용하면 문자열을 쉽게 반복할 수 있다.하지만 repeat문은 아쉽게도 자바 11버전부터 사용할 수 있다.numbers의 size를 for문 돌때마다 체크하기때문에 매우 안좋음반복문은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더라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부분이다.
객체 안에 들어있는 정보들이 객체의 속성이자 특성이기때문에 외부에 공개하는 것이 반드시 좋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객체 멤버에 대한 접근을 제한 하는데, 이것을 접근제한자라고 함public : 모든접근허용protected: 같은 패키지의 객체, 다른패키지에 있더라도 상속
isEmpty는 객체 = null 일 때는 false객체 = "" 일 때는 true객체 = "" 일때는 false,객체 = null 일 때는 true이기 때문에 null값 예외처리를 해주고싶다면null == 객체 || 객체.isEmpty 를 써주는게 맞다.
생활코딩이 진짜 정리를 너무 잘해놓아서https://youtu.be/YUinFIexEQ4 이 영상을 보면 이해가 갈 것이다.꺽새 안에 데이터 타입을 정의할 때 보통 E로 한다고 들었는데 여기서는 T로 되어있다.뭐가 정답인지는 모르겠다
letter을 ""로 바꾸는 함수
Integer.parseInt()와 (int)는 둘 다 정수로 형변환을 수행하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목적이 다릅니다.Integer.parseInt()는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하는 메서드입니다. 예를 들어, 문자열 "123"을 정수 123으로 변환할 때 사용됩니다.사용 예시
19:00 문자열을 time형태로 변환분 차이를 계산해주는 함수
자바에서 상속이란 기존의 클래스를 재활용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하는 자바의 문법 요소입니다.상속은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로 나누어 상위 클래스의 멤버(필드, 메서드, 이너 클래스)를 하위 클래스와 공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무코드 중 HashMap.get(키) 에서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할 때가 있고, 발생안할 때가 있는데 나는 무조건 키가 HashMap에 존재하지 않으면 발생한다고 생각했다.그래서 nullPointerException 방어코드를 많이 작성했었따.하
필터(Filter)는 J2EE 표준 스펙 기능으로 디스패처 서블릿(Dispatcher Servlet)에 요청이 전달되기 전/후에 url 패턴에 맞는 모든 요청에 대해 부가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디스패처 서블릿은 스프링의 가장 앞단에 존재하는 프론트 컨
HTTP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냈을 때 서버가 응답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3자리 숫자 코드입니다. 이 코드를 통해 요청이 성공했는지, 오류가 발생했는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상태 코드는 5개의 범주로 나뉩니다.100 Continue: 요청의 일부를
기본 데이터 타입 (int, double, boolean 등): 변수에 값을 할당하면 그 값은 복사됩니다. 예를 들어, int a = 5; 하고, int b = a;를 하면 b는 a의 값을 복사해서 받습니다. 이후 b를 변경해도 a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객체 타입 (String, Array, List 등): 객체는 참조를 공유합니다. 예를 들어, Lis...
Java 8은 2014년에 출시된 버전으로, Java 언어의 큰 변화를 가져온 중요한 릴리스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함수를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기능으로,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입니다. 주로 익명 클래스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대용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