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의 인터페이스는 상태(필드)를 가질 수 없지만 코틀린에서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디폴트 메소드와 같이 본문을 가진 메소드도 가능하지만 따로 키워드를 가지지 않는다. 본문이 존재하면 디폴트 메소드처럼 취급된다.
interface Clickable {
fun click()
fun showOff() = println("I'm clickable")
}
코틀린이 자바6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자바8에서 도입된 디폴트 메소드로 동작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코틀린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자바 클래스는 본문이 존재하는 메소드도 구현해주어야 한다.
본문을 가진 인터페이스 메소드 중 시그니처가 동일한 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를 생각해보자. 두 메소드 중 하나만 본문을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구현을 생략할 수 없다. 본문이 존재하더라도 메소드를 구현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interface Clickable {
fun click()
fun showOff() = println("I'm clickable")
}
interface Focusable {
fun showOff() = println("I'm focusable")
}
class Button : Clickable, Focusable {
override fun click() {}
override fun showOff() {
println("I'm button")
}
}
fun main(){
val btn = Button()
btn.showOff() // "I'm button" 출력
}
그렇다면 어떻게 구현된 기존 본문을 사용할 수 있을까? super<T>를 이용하여 기존 본문에 접근할 수 있다.
class Button : Clickable, Focusable {
override fun click() {}
override fun showOff() {
super<Clickable>.showOff()
super<Focusable>.showOff()
}
}
fun main(){
val btn = Button()
btn.showOff() // "I'm clickable"
// "I'm focusable" 출력
}
final 클래스는 상속이 불가능하다. 자바는 기본적으로 open 클래스지만 코틀린은 final 클래스이기 때문에 open을 명시해야만 상속이 가능하다.
class FinalClass{ ... }
open class OpenClass { ... }
class Child1 : FinalClass // 컴파일 에러
class Child2 : OpenClass // 상속 가능
이와 더불어 클래스의 메소드를 오버라이딩하려면 open 변경자를 명시해야만 자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이 가능하다.
open class Button : Clickable {
fun disable() { ... } // 오버라이드 불가
open fun animate { ... } // 오버라이드 가능
override fun click1() { ... } // 오버라이드한 메소드는 기본적으로 open
final override fun click2() { ... } // 오버라이드한 메소드의 상속을 금지하려면 final로 지정하면 된다.
}
자바에서는 가시성 변경자로 private, protected, defualt, public을 사용하고 기본적으로 defualt이다. 코틀린에는 default가 존재하지 않고 대신 internal이 추가되었다. 기본 가시성 변경자는 public이다.
자바의 default는 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할 수 있었지만 internal은 같은 모듈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여기서 모듈이란 같이 컴파일되는 모든 파일의 집합을 이야기한다. 예를들어 날짜 포맷을 반환하는 라이브러리를 만들었다고 할 때 이 라이브러리를 모듈로 볼 수 있다.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외부에서 internal 가시성 변경자로 선언된 클래스, 메소드는 사용할 수 없다.
변경자 | 클래스 멤버 | 최상위 선언 |
---|---|---|
public(기본) | 모든 곳에서 볼 수 있다 | 모든 곳에서 볼 수 있다 |
internal | 같은 모듈 안에서만 볼 수 있다 | 같은 모듈 안에서 만 볼 수 있다 |
protected | 하위 클래스 안에서만 볼 수 있다 | 최상위 선언 적용 불가 |
private | 같은 클래스 안에서만 볼 수 있다 | 같은 파일 안에서만 볼 수 있다 |
자바에서 protected는 같은 패키지 내에서 접근이 가능했지만 코틀린에서는 그렇지 않다. 오직 자신이나 자손 클래스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자바에는 기본 생성자가 존재하고 생성자를 오버로딩하여 사용한다. 코틀린은 이와 다르게 주 생성자와 부 생성자로 나뉜다.
자바에서 생성자를 중괄호({ }) 안에서 선언한다. 하지만 코틀린은 주 생성자로 클래스 중괄호 밖에서 선언한다. 코틀린으 클래스 정의를 한번 살펴보자.
class User(val nickname: String)
이 함축된 선언을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class User constructor(_nickname: String) {
val nickname: String
init {
nickname = _nickname
}
or
val nickname = _nickname
}
constructor 키워드를 이용해 생성자를 선언하고 init 초기화 블럭 안에서 인스턴스 초기화시 필요한 작업이 수행된다. 주 생성자에 가시성 변경자나 어노테이션의 적용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생략할 수 있다. 이를 자바 코드로 디컴파일하면 아래와 같다.
public class User{
private final String nickname;
// init 초기화 블럭이 생성자로 디컴파일된다.
public User(String nickname){
this.nickname = nickname;
}
}
함수와 마찬가지로 생성자에도 기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모든 멤버변수에 기본 값이 존재하거나 주 생성자를 정의하지 않으면 파라미터가 없는 기본 생성자를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class User(val nickname: String = "tkppp")
val user = User()
자바에서는 멤버 변수를 필드라고 한다. 하지만 코틀린에서는 이를 프로퍼티라고 부른다. 생성자를 통해 프로퍼티를 정의하면 자동으로 게터와 세터를 생성해준다. 멤버변수, 게터, 세터를 합쳐 프로퍼티라고 하는것이다. 게테와 세터를 가지지 않는 자바 필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private 접근자를 붙여 프로퍼티를 정의하면 된다.
class Person1(val name: String)
class Person2(private val name: String)
// java decompile
// 게터, 세터 존재
public class Person1{
private final String name;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this.name; }
}
// 게터, 세터 X
public class Person2{
private final String name;
}
자바에서는 상속을 받는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의 생성자를 super로 호출해 초기화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코틀린에서는 이를 상속과 동시에 해결한다.
open class User(val nickname: String = "tkppp") { ... }
// 상속과 동시에 부모 생성자 호출
class TwitterUser(nickname: String) : User(nickname) { ... }
or
// 멤버의 기본값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파라미터 생략 가능
class TwitterUser(nickname: String) : User() { ... }
코틀린은 구현과 상속에 있어 자바와 다르게 동일한 콜론(:)으로 표기한다. 상속에 있어 부모 초기화의 초기화는 필수이기에 클래스의 상속은 생성자를 호출하게 되므로 인터페이스 구현과는 구별된다.
자바와 다르게 코틀린의 요소 덕분에 부 생성자가 필요한 경우가 많지는 않지만 어쨌든 주 생성자 외에 다른 생성자가 필요한 상황이 생긴다. 가능한 경우 멤버변수의 기본값을 설정하여 주 생성자만 사용하는게 좋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주 생성자 없이 부 생성자를 만들어야 한다.
open class View {
constructor(ctx: Context) { ... }
constructor(ctx: Context, attr: Atrribute) { ... }
}
상속을 받는 클래스라면 주 생성자와 마찬가지로 부모 클래스의 초기화를 해주어야한다. 이때는 자바와 같이 super를 사용한다.
class MyButton{
constructor(ctx: Context) : this(ctx, MY_STYLE) { ... }
constructor(ctx: Context, attr: AttributeSet): super(ctx, attr) { ... }
}
자바와 생성자 선언이 매우 유사하다.
인터페이스에 자바와 다르게 추상 프로퍼티가 들어가므로 클래스에서 구현을 해주어야 한다. 메소드 오버라이드와 크게 다를건 없다. 방식이 여러개일 뿐이다.
interface User {
val nickname: String
}
// 주 생성자에서 구현
class PrivateUser(override val nickname: String) : User
// 필드와 커스텀 게터를 이용한 구현
class SubscribeUser(val email: String) : User {
override val nickname
get() = email.substringBefore('@')
}
// 필드에 구현
class FacebookUser(val accountId: Int) : User {
override val nickname = getFacebookName(accountId)
}
fun main(){
val user = SubscribeUser("gowldla0423@naver.com")
println(user.nickname)
}
예제의 커스텀 게터와 필드 구현의 차이
커스텀 게터를 사용할 경우 뒷받침하는 필드에 값을 저장하지 않고 게터를 호출할 때마다 결과를 매번 계산하여 반환한다. 필드에 구현할 경우 뒷받침하는 필드에 값을 저장해 호출 시마다 불러온다.
커스텀 게터와 세터를 구현할 때 field를 사용할 경우 코틀린은 뒷받침하는 필드를 생성해준다. 세터로 뒷받침하는 필드에 값을 저장하고 게터에서 뒷받침하는 필드에서 값을 꺼내와 넘겨주게 된다.
class User(val name: String) {
val address: String = "unspecified"
set(value: String){
println("""
Address was changed for $name:
"$field" -> "$value".""".trimIndent())
field = value
}
데이터 클래스란 프로퍼티만 가진 클래스로 모든 클래스가 정의해야 하는 메소드를 자동 생성해주는 코틀린의 특별한 클래스이다. 클래스 정의 시 class 앞에 data만 추가해주면 된다.
hashCode()를 오버라이드 하지 않는다면 equals()를 오버라이드 했더라도 틀린 경우가 나타날 수 있다.
val _hashSet = hashSetOf(Client("tkppp", 25))
println(_hashSet.contains(Client("tkppp", 25))) // false 출력
분명 동일한 값을 가지는 false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contains 메소드가 객체의 hashCode() 메소드를 사용하여 이용하여 포함됐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hashCode() 메소드를 오버라이드 해야한다.
class Client(val name: String, val age: Int){
override fun hashCode(): Int = name.hashCode * 31 + age
}
val _hashSet = hashSetOf(Client("tkppp", 25))
println(_hashSet.contains(Client("tkppp", 25))) // true 출력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클래스에서는 각 메소드를 적절하게 자동으로 생성해주어 해결했다.
data class Client(val name: String, val age: Int)
val _hashSet = hashSetOf(Client("tkppp", 25))
println(_hashSet.contains(Client("tkppp", 25))) // true 출력
println(Client("tkppp", 25)) // Client(name = "tkppp", age = 25) 출력
데이터 클래스를 정의할 때 var로 프로퍼티를 만들어도 되지만 가급적 데이터 클래스는 불변 클래스로 만드는 것을 권장한다. 대신 copy() 메소드를 통해 일부 프로퍼티만 변경한 새 객체를 만들 수 있다.
data class Client(val name: String, val age: Int)
val c1 = Client("tkppp", 25)
val c2 = c2.copy(age = 26)
println(c2) // Client(name = "tkppp", age = 26) 출력
잘 모르겠다.... 나중에 다시 알아보자
object 키워드를 이용해 클래스를 정의함과 동시에 인스턴스 생성을 할 수 있다. object 키워드를 통해 할 수 있는 상황으로 주로 3가지를 들 수 있다.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단 한개만 존재하는 클래스를 자바에서는 private 생성자를 통해 싱글톤 패턴으로 구현하였다. 하지만 코틀린은 object 키워드를 통해 싱글톤 패턴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object Payroll {
val allEmployees = arrayListOf<Person> ()
fun calculateSalary(){
...
}
}
Payroll.calculateSalary()
객체 선언을 통해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프로퍼티, 메소드, 초기화 블록등이 들억갈 수 있다. 하지만 생성자(주,부 생성자)는 객체선언에 쓸 수 없다. 객체 선언과 동시에 인스턴스가 생성되므로 생성자가 필요없기 때문이다. 자바에서 정적(static) 필드를 사용하는 것처럼 객체의 메소드와 프로퍼티에 접근할 수 있다. 일반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클래스의 상속이나 인터페이스의 구현이 가능하다.
클래스 안에서도 객체 선언할 수 있다. 클래스 안에 있다고 해서 객체가 각 인스턴스마다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자바의 정적 필드와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data class Person(val name: String){
object NameComparator : Comparator<Person> {
override fun compare(p1: Person, p2: Person): Int = p1.name.compare(p2)
}
}
코틀린의 중첩 객체는 자바에서 INSTANCE 정적 멤버로 접근할 수 있다.
코틀린은 자바와 달리 static 키워드를 가지지 않는다. 이를 최상위 함수, 프로퍼티와 객체 선언을 활용한다. 하지만 최상위 함수는 클래스 내의 private 멤버에는 접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동반 객체를 사용하면 정적이면서 private 멤버에 접근할 수 있다.
동반 객체를 생성하기 위하서는 객체 선언에 companion 키워드를 앞에 붙여주면 된다. 중첩 객체와 같이 클래스 이름으로 호출할 수 있다.
class User private constructor(val nickname: String){
companion object {
fun newSubscribingUser(email: String) = User(email.substringBefore('@'))
fun newFacebookUser(accountId: Int) = User(getFacebookUser(accountId))
}
}
위의 코드를 보면 주 생성자를 private으로 선언하였다. 하지만 동반객체로 팩토리 메소드를 사용해 private 생성자를 호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동반 객체도 이름을 가질 수 있다. 단지 사용할때 동반 객체의 이름으로 메소드를 호출하면 된다.
무명 동반 객체는 자바에서 Companion 정적 멤버로 접근할 수 있다. 이름이 있는 경우 일반 정적 멤버처럼 호출하면 된다.
객체 선언과 마찬가지로 동반 객체도 클래스의 상속, 인터페이스의 구현이 가능하다.
동반 객체에도 확장 함수, 프로퍼티를 이용한 확장이 가능하다.
자바에서는 클래스를 매개변수로 넘길때 무명 객체를 사용한다. 코틀린에서는 object 키워드를 이용해 무명 객체를 만든다. 자바와 달리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단 한번만 상속하거나 구현할 수 있지 않고 여러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자바와 마찬가지로는 객체 식이 포함된 함수의 변수에도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객체 식은 싱글톤이 아니다. 객체 식이 쓰일때마다 새로운 인스턴스가 생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