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it 단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 전기적 매체 담당
-
Bandwidth, Encoding, Error Rate를 고려하여 1초에 송수신할 bit의 수를 결정(Data Rate)
-
bit 단위 동기화를 수행
-
Network Topology
- Ring, Mesh, Star, Fully Connected, Line, Tree, Bus
-
전송 매체의 mode들
- Simplex : 한 장치는 전송만, 한 장치는 수신만 수행
- Half Duplex : 두 장치 모두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는 불가.
- Full Duplex : 모든 장치가 동시에 송수신 가능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보내면 발생하는 문제들
- Attenuation, Signal Loss: 전송 거리에 따라 전압이 감소
- Dispersion : 전자파 등에 의해 신호가 간섭
- Delay Distortion : 신호가 다른 신호에 비해 빠르거나 느리게 도착
- Noise : 전송 과정에서 다양한 이유로 발생
-
데이터 전송 매개
- Twisted Pair Cable
- UTP : 두 개의 구리선으로 구성, 전화선 등
- STP : 포일로 싸인 구리선. 외부 간섭이 적음
- Coaxial Cable : 동축 케이블 , TV 선
- Optical Fiber : 대량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 단방향 양방향 통신 모두 가능
-
데이터의 전송 형태
- Radio wave : 송수신이 쉬우며 건물으르 통과.
- Microwave : 송수신 안테나가 정렬되어 있어야 함.
- Infrared : 근거리 통신에 사용. 물체 관통 불가.
-
네트워크의 지연
-
Transmission Delay: 패킷이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동안 발생 (Packet size / bandwidth)
-
Propagation Delay : 전송된 패킷의 마지막 비트가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거리 / 속도)
-
Queueing Delay : 패킷이 도착한 후에 버퍼 등에서 대기하며 발생하는 지연
-
Processing Delay : 패킷이 처리되면서 발생하는 지연
-
Multiplexing
- 저수준의 채널들을 고수준의 채널로 통합하여 전송하고, 수신 시 다시 분해
- 시분할 다중화 (TDM) : 신호를 시간대 별로 나누어 전송
- 동기식 : 각 채널에 똑같이 시간을 부여.
- 비동기식 : 준비된 채널에 동적으로 채널 부여하여 효율적
-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동시간에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전송
- 파장 분할 다중화 (WDM) : 광섬유에서 사용. 파장으로 분할
-
Switching
-
장치 간의 링크를 필요할 때 구축해주는 과정
-
회선 교환 : 두 장치 사이에 물리적인 선을 연결
- 연결을 구축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이후에는 지연 없이 두 장치가 해당 연결을 점유
- 속도가 고정적임
-
패킷 스위칭 : 전체 메시지를 노드가 수용 가능한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
-
메시지 스위칭 : 메시지 전체를 한 번에 인접 노드 전체에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