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저(Closure)에 대한 정리

Shim.SeongHo·2021년 2월 22일
1

[JavaScript]

목록 보기
2/15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클로저(Closure)

클로저는 함수와 함수가 선언된 어휘적 환경(Lexical environment)의 조합이다. 클로저를 이해하려면 자바스크립트가 어떻게 변수의 유효범위를 지정하는지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1.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ing)

함수가 중첩되어 있을 때, 스코프 체인 때문에 내부 함수에 찾는 식별자가 없다면 상위 스코프에서 식별자를 찾아 나간다. 아래 코드의 결과를 예측해보자.

var x = 1;

function foo() {
  var x = 10;
  bar();
}

function bar() {
  console.log(x);
}

foo(); // ?
bar(); // ?

bar() 에는 x가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코프 체인에 의해서 상위 스코프로 이동하면서 x가 어디에 선언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bar() 의 상위 스코프가 foo()라면 x10이 될 것이고, 상위 스코프가 전역이라면 x1이 될 것이다.

bar() 함수가 어떤식으로 상위 스코프를 결정할까 ?
두 가지 패턴이 있다.

  1. 함수를 어디서 호출하였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방식
  2. 함수를 어디서 선언하였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방식

첫 번째 방식을 동적 스코프(Dynamic scope)라고 하고, 두 번째 방식을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 또는 정적 스코프(Static scope)라고 한다. 자바스크립트와 대부분의 언어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른다.
즉 어디서 선언하였는지에 따라 결정이 되므로 bar()의 상위 스코프는 전역 스코프이고 x의 값은 1이 된다.

2. 클로저(Closure)

클로저란

함수가 속한 렉시컬 스코프를 기억하여 함수가 렉시컬 스코프 밖에서 실행될 때에도 이 스코프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 때 함수가 접근할 수 있는 렉시컬 스코프를 클로저라고 부른다.

라고 말할 수 있겠다.

아래 코드를 보자.

function outter() {
  var title = "coding everybody";
  return function () {
    console.log(title);
  };
}
var inner = outter();
inner();

outter() 라는 외부함수를 실행한 결과(return) 는 inner 변수에 담긴다. inner 변수에 담겨있는 함수 function() { alert(title); } 를 호출하면 coding everybody 가 출력된다.
여기서 이상한 점은 inner 변수에 담긴 함수를 호출할 때 outter() 함수는 이미 생을 마감하고 종료되었는데도 불구하고 inner 가 외부함수 outter() 에 존재하는 title 에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다.

2-1. 클로저의 활용

1. 정보 은닉

function factory_movie(title) {
  return {
    get_title: function () {
      return title;
    },
    set_title: function (_title) {
      title = _title;
    },
  };
}
ghost = factory_movie("Ghost in the shell");
matrix = factory_movie("Matrix");

console.log(ghost.get_title());
console.log(matrix.get_title());

ghost.set_title("공각기동대");

console.log(ghost.get_title());
console.log(matrix.get_title());

실행결과는 아래와 같을 것이다.

Ghost in the shell
Matrix
공각기동대
Matrix

위의 코드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들이 몇 가지 있다.

  1. 클로저는 객체의 메소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위의 코드는 get_titleset_title 메소드를 가진 객체를 반환하고 있다. 이 메소드들은 외부함수인 factory_movie의 인자값으로 전달된 지역변수 title 을 사용하고 있다.
  2. 동일한 외부함수 안에서 만들어진 내부함수나 메소드는 외부함수의 지역변수를 공유한다. ghost.set_title('공각기동대'); 의 코드로 지역변수 title공각기동대 로 변경했다.
    두 번째 console.log(ghost.get_title()); 의 출력 값이 공각기동대 인 이유는 set_titleget_title 메소드가 지역변수 title 의 값을 공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3. 똑같은 외부함수 factory_movie 를 공유하고 있는 ghostmatrixget_title 값이 다른 이유는 외부함수가 실행될 때마다 새로운 지역변수를 포함하는 클로저가 생성되기 때문에 ghostmatrix 는 서로 완전히 독립된 개체가 되기 때문이다.
  4. factory_movie 의 지역변수 title 의 값을 읽고 수정 할 수 있는 것은 factory_movie 메소드를 통해서 만들어진 객체 뿐이다.
  5. factory_movie 가 어떠한 값을 리턴했을 때 그 함수는 생이 마감되었기 때문에 지역변수인 titlefactory_movie 의 내부함수인 get_titleset_title 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private 한 변수가 되는 것이다.

2. 자주하는 실수

아래의 코드를 보자

var arr = [];

for (var i = 0; i < 5; i++) {
  arr[i] = function () {
    return i;
  };
}

for (var j = 0; j < arr.length; j++) {
  console.log(arr[j]());
}

결과 값으로 0 1 2 3 4 가 나올 것 같지만 5 5 5 5 5 가 나온다. for 문을 풀어서 보면

arr[i] = function () { return i; };
i = i + 1; // i = 1
arr[i] = function () { return i; };
i = i + 1; // i = 2
arr[i] = function () { return i; };
i = i + 1; // i = 3
arr[i] = function () { return i; };
i = i + 1; // i = 4
arr[i] = function () { return i; };
i = i + 1; // i = 5

i = 5 가 된다. 두 번째 for 문도 풀어보면

console.log(arr[0]());
console.log(arr[1]());
console.log(arr[2]());
console.log(arr[3]());
console.log(arr[4]());

이 코드에서 각각 함수를 호출할 때 function() {return i} 에서 i 는 전역변수 var i 를 참조하기 때문에 5가 5번 출력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이 코드를 변경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출력이 된다.

var arr = [];
for (var i = 0; i < 5; i++) {
  arr[i] = (function (id) {
    return function () {
      return id;
    };
  })(i);
}
for (var index in arr) {
  console.log(arr[index]());
}
  • 배열 arr에는 즉시실행함수(IIFE)에 의해 함수가 반환된다.
  • 이 때 즉시실행함수는 i 를 인자로 전달받고 매개변수 id 에 할당한 후 내부 함수를 반환하고 life-cycle이 종료된다. 매개변수 id 는 자유변수가 된다.
  • 배열 arr 에 할당된 함수는 id 를 반환한다. 이 때 id 는 상위 스코프의 자유변수이므로 그 값이 유지된다.

for 문을 풀어서 보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arr[i] = (function (id) { return function () { return id; }; })(i); 
// var id는 0
i = i + 1;
arr[i] = (function (id) { return function () { return id; }; })(i); 
// var id는 1
i = i + 1;
arr[i] = (function (id) { return function () { return id; }; })(i); 
// var id는 2
i = i + 1;
arr[i] = (function (id) { return function () { return id; }; })(i); 
// var id는 3
i = i + 1;
arr[i] = (function (id) { return function () { return id; }; })(i); 
// var id는 4
i = i + 1;

arr[index]() 함수를 호출하면 전역변수인 i 를 리턴하는 함수가 아니라 지역변수 id 를 리턴하기 때문에 0 1 2 3 4 가 출력이 된다.

3. 참고

https://poiemaweb.com/js-closure
https://opentutorials.org/course/743/6544
https://hyunseob.github.io/2016/08/30/javascript-closure/

여러가지 사이트를 참고하면서 정리는 했지만 아직 완벽하게 클로저에 대해서 이해를 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일단은 이 정도까지만 정리를 해두고 다음에 더 깊게 공부를 해봐야겠다.

profile
알아가는 재미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