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과 Github 기본 사용 방법

심진주·2024년 8월 22일
0

Git

목록 보기
7/8
post-thumbnail

windows 환경 기준입니다.

1. Git 클라이언트 설치

다운로드 URL : https://git-scm.com/

2. Git 전역 설정

  • 명령 프롬프트 들어가는 법
    win+R - cmd 또는 win - "명령 프롬프트" 검색

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명령어 입력후 아무런 내용도 표시되지 않는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_name"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_email"
  • 쌍따옴표 안에 본인의 이름과 이메일을 입력한다.
  • $ 표시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작성하라는 의미다.

3. 인증서 설정

3-1. 🔑 인증서 생성하기

명령 프롬프트에서 인증서 생성을 위한 명령어를 실행한다.
이 명령은 PC마다 최초 1회만 수행하면 된다.

$ ssh-keygen -t ed25519 -C "user@email.com"
  • 명령어 입력후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엔터키만 입력한다.
  • 정상적으로 완료된다면 사용자 홈디렉토리 안에 .ssh 라는 이름의 폴더가 생성되고 그 안에 인증서( id_ed25519 , id_ed25519.pub ) 가 생성된다.

3-2. 🔑 인증서를 Github에 등록하기

  1. github에 로그인
  2. 화면 우측상단의 계정 아이콘을 클릭하여 settings 메뉴를 선택
  3. 왼쪽 메뉴에서 SSH and GPG keys 메뉴 선택
  4. 화면 오른쪽의 New SSH Key 버튼을 클릭
  • Title : New SSH Key Title 입력
  • Key type : 기본값 유지
  • Key : id_ed25519.pub 파일의 내용을 복사 후 붙여 넣기

4. 새로운 작업 시작하기

4-1. 📁 Github에 새로운 저장소 생성

New Repository 👉 https://github.com/new

입력항목설명
Repository name저장소 이름. 영문+숫자+언더바 조합으로 생성
Description간략한 설명 (선택사항)
Public or PrivatePublic = 공개용, Private = 비공개

저장소가 생성되면 주소는 아래와 같은 형식이다.

git@github.com:사용자아이디/저장소이름.git

4-2. 📁 내 PC에서 진행중인 작업물을 저장소에 등록

작업 폴더 위치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연다.

  • 작업 폴더 위치에서 명령 프롬프트 여는 방법 :
  1. 작업 폴더에 들어간다.

img1

  1. 폴더에서 작업 폴더 위치를 클릭한다.

img2

  1. 작업 폴더 위치에서 cmd 를 입력한다.

img3

  1. 명령 프롬프트를 연다.

img4

  1. 처음 내 PC에서 작업물을 저장소에 등록하려면 아래 코드 입력한다.
$ git init
$ git branch -M main
$ git add -A
$ git commit -m "간단한 코멘트"
$ git remote add origin 저장소 주소
$ git push --force --set-upstream origin main
  • "간단한 코멘트" 는 commit 할 때 마다 올라가는 멘트다.
  • 저장소주소는 본인이 만든 Repository(저장소)에 들어가서
    Code - SSH - Code Copy 하고 cmd에 복사 붙여넣기 하면된다.

이 과정을 수행하면 내 컴퓨터의 현재 작업 파일들이 github에 업로드 된다.
이후 컴퓨터의 파일들이 삭제되도 언제든지 github으로부터 다시 복제할 수 있다.

5. 다른 PC에서 github에 등록된 작업을 가져오기

  • #01 ~ #03까지 선행되어야 한다.
  • 작업할 소스가 위치할 폴더에서 명령프롬프트를 연다.
  • 기존에 작업을 진행하던 PC에서도 github과 연결된 폴더가 삭제된 경우 이 과정을 수행한다.
git clone 저장소 주소

원래 작업하던 PC가 아닌 곳에서 위 코드를 입력하면 폴더가 복제된다.

6. 현재 사용중인 PC에서 작업한 내역을 github에 전송하기

6-1. ☁️ 작업 내역을 업로드 대기상태로 등록

$ git add -A
$ git commit -m "간단한 메시지"
  • 이 명령은 실제로 파일이 전송되는 것은 아니다.
  • 업로드 대기상태로 등록하는 처리이므로 몇 번을 수행하더라도 이후 일괄 업로드하게 된다.

6-2. ☁️ 업로드 대기상태의 내용들을 github에 전송

$ git push origin main
  • github으로 전송되었다.

7. 다른 PC에서 push한 내용을 내려받기

$ git pull origin main
  • 수정사항만 복제가 가능하다.

8. 최종정리

  • 1~4 과정이 선행됐다고 가정한다.

8-1. main PC 에서 작업한 내용 github에 등록

$ git add -A
$ git commit -m "간단한 메시지"
$ git push origin main

8-2. sub PC 에서 main PC 작업한 내용 내려받기

git clone 저장소 주소

8-3. sub PC 에서 작업한 내용 github에 등록

$ git add -A
$ git commit -m "간단한 메시지"
$ git push origin main

8-4. main PC 에서 sub PC - 작업한 내용을 수정 사항만 내려받기

$ git pull origin main

반복하면 여러 PC에서 작업할 수 있다.

주의 사항

1. 용량 제한

  • git 에 올리는 파일을 100MB를 넘지 않도록 한다.

참고문헌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8월 23일

So good~!!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