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환경 ubuntu/focal64cpu : 2개memory : 2GBkube-master1 : 192.168.200.10kube-node1 : 192.168.200.21kube-node2 : 192.168.200.22kube-node3 : 192.168.200.23k
k8s는 yaml 문법을 사용하므로 vi 편집기에 yaml 문법을 적용해야 사용하기 훨씬 편하다.
K8S Controller인 RC, RS, Deployment 등은 웹 서버와 같은 일반적인 워크로드에 대해 Pod를 관리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다. Pod들을 서버, 데이터베이스, 배치 작업, 데몬 서버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존재하는데 이를 지원하기위한 컨트롤러이다.파드
k8s 서비스 종류로는 4가지가 있다. ClusterIP, NodePortIP, LoadBalancer, ExternaNameClusterIP: 기본 서비스 타입이며 쿠버네티스 내부에서 사용가능하다. 클러스터 내부의 포드에서ClusterIP를 이용해서 해당 서비스에 연
먼저 wordpress와 mysql이 사용할 pv를 구성한다.pv1.yamlpv2.yaml이제 mysql과 wordpress를 구축할 yaml파일을 작성한다.mysql.yamlwordpress.yamlkustomization.yaml명령어명령어를 입력하면 pod들이 생
컨미그맵은 키-값 쌍으로 기밀이 아닌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API 오브젝트이다. Pod는 볼륨에서 환경 변수, 커맨드-라인 인수 또는 구성 파일로 컨피그맵을 사용할 수 있다.컨피그맵을 사용하면 컨테이너 이미지에서 환경별 구성을 분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이식
파드를 지정할 때, 컨테이너에 필요한 각 리소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지정할 가장 일반적인 리소스는 CPU와 메모리(RAM) 그리고 다른 것들이 있다.파드에서 컨테이너에 대한 리소스 요청을 지정하면, 스케줄러는 이 정보를 사용하여 파드가 배치될 노드를 결
이전에서 파드의 컨테이너 리소스 자원을 조절하는 법을 알았다. 하지만 이를 파드의 컨테이너별로 지정하는 것이 아닌 네임스페이스별로 리소스 사용과 생성을 제한할 수 있다. 네임스페이스 내에서 파드나 컨테이너는 네임스페이스의 리소스 쿼터에 정의된 만큼의 CPU와 메모리를
리소스 쿼터여러 사용자나 팀이 정해진 수의 노드로 클러스터를 공유할 때 한 팀이 공정하게 분배된 리소스보다 많은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리소스 쿼터가 있다.ResourceQuota 오브젝트로 정의된 리소스쿼터는 네임
Horizontal Pod Autoscaler는 CPU 사용량의 파드 개수를 자동으로 스케일한다. Horizontal Pod Autoscaler는 크기를 조정할 수 없는 오브젝트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DaemontSet)에는 적용되지 않는다.Horizontal Pod
HelmHelm은 쿠버네티스 차트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차트는 사전 구성된 쿠버네티스 리소스의 패키지이다.헬름은 패키지 관리 도구이고, 차트가 리소스를 하나로 묶은 패키지에 해당한다. 헬름으로 차트를 관리하는 목적은 매니페스트 파일을 손쉽게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service/monitor-grafana가 LoadBalancer 인것을 볼 수 있다.http://192.168.201.200 접속하면그라파나를 볼 수 있다.username : adminpassword : prom-operator를 입력해서 로그인 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