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tBrains IDE에서 GitHub MCP 원격 서버 설정하기

gay0ung·2025년 7월 23일
0

Android

목록 보기
6/14

최근 GitHub Copilot이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지원하면서 JetBrains IDE에서도 GitHub 저장소를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Android Studio를 포함한 JetBrains IDE에서 GitHub MCP 원격 서버를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했다.

MCP가 뭔데?

MCP는 쉽게 말해 AI와 외부 도구를 연결해주는 다리다.

예를 들어 Copilot에게 "이 PR 머지해줘"라고 말하면, 원래는 불가능하다. Copilot은 코드 작성만 도와줄 뿐 GitHub을 직접 조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MCP를 통해 GitHub 서버와 연결하면 Copilot이 직접 PR을 머지하거나 이슈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USB 포트처럼 생각하면 된다. USB 포트가 있어야 외장하드를 연결할 수 있듯이, MCP가 있어야 AI가 GitHub, Slack, 데이터베이스 같은 외부 서비스와 통신할 수 있다.

설정 방법

1. GitHub Copilot 설정 열기

JetBrains IDE 하단 툴바에서 GitHub Copilot 아이콘을 클릭한다. 그리고 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 설정으로 들어간다.

또는 Settings → Tools → GitHub Copilot으로 직접 이동할 수도 있다.

2. MCP 서버 추가

GitHub Copilot 설정에서 "Model Context Protocol" 섹션을 찾는다. 여기서 "+"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MCP 서버를 추가할 수 있다.

3. GitHub 원격 서버 설정

다음 정보를 입력한다:

  • Name: GitHub (원하는 이름으로 설정 가능)
  • Type: Remote Server 선택
  • URL: https://mcp.github.com
  • Authentication: Personal Access Token 선택

4. Personal Access Token 입력

GitHub Personal Access Token이 필요하다. 없다면 다음 과정을 따른다:

  1. GitHub.com에서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s → Tokens (classic)로 이동
  2. "Generate new token" 클릭
  3. 필요한 권한 체크:
    • repo (전체 저장소 접근)
    • issues (이슈 관리)
    • pull_requests (PR 관리)
  4. 생성된 토큰을 복사해서 IDE의 Token 필드에 붙여넣기

5. 연결 테스트

"Test Connection" 버튼을 클릭해서 연결이 잘 되는지 확인한다. 성공 메시지가 나타나면 "Apply"를 클릭한다.

사용 방법

설정이 완료되면 Copilot 채팅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이 가능해진다:

"현재 저장소의 열린 이슈들을 보여줘"
"feature/login 브랜치를 main에 머지하는 PR 만들어줘"
"이슈 #45에 '작업 중입니다' 댓글 달아줘"
"최근 일주일간 머지된 PR 목록 알려줘"

Copilot이 MCP를 통해 GitHub API를 직접 호출하므로 브라우저를 열지 않고도 작업할 수 있다.

답변은 아래와 같이 온다!

주의사항

권한 관리

Personal Access Token에 부여한 권한만큼 Copilot이 작업할 수 있다.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하는 것이 안전하다.

원격 서버 지원

2025년 7월 현재 JetBrains IDE의 원격 MCP 서버는 PAT(Personal Access Token) 인증만 지원한다. OAuth는 아직 지원하지 않는다.

연결 상태 확인

MCP 서버 목록에서 각 서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록색 점이 표시되면 정상 연결된 상태다.

다른 MCP 서버들

GitHub 외에도 다양한 MCP 서버를 추가할 수 있다:

  • Slack: 메시지 전송, 채널 관리
  • Google Drive: 파일 검색, 문서 읽기
  •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쿼리 실행

각 서버마다 설정 방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인 과정은 동일하다.

마무리

MCP를 통해 Copilot의 활용도가 크게 높아졌다. 단순한 코드 작성 도구에서 개발 워크플로우 전체를 관리하는 어시스턴트로 진화한 셈이다. 특히 GitHub과의 연동은 PR 리뷰, 이슈 관리 등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설정이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한 번만 해두면 개발 생산성이 눈에 띄게 향상된다. JetBrains IDE를 사용한다면 꼭 설정해보길 권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