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Just Do It!
post-thumbnail

Mockito와 Stubbing

단위 테스트에서 Mock을 얼마나 사용해야 할까? 지난번 포스팅에서 테스트 시 외부 API 또는 DB와 통신해야할 때 테스트 환경이 구축되어있지 않아도 Mock 사용해 테스트할 수 있다고 작성하였는데, 그렇다면 얼마나 Mock을 사용해야하는지 판단해보자. 예제 이전에 작성한 예제 코드를 보면 StudyService의 createStudy 메소드에서 사용되는 모든 객체(studyRepository, memberRepository, studyMapper)들을 mocking하고 있다. 단위 테스트에서 단위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다른 테스트 코드가 작성되는데 예제 코드는 createStudy 메소드에서 사용되는 모든 객체들을 엄격하게 mocking하고 있다. 그렇다면 상황을 바꿔서 생각해보자. StudyMapper studySevice studyMapper가 인터페이스로 작성되어 있었던 이전 포스팅과 달리 위의 코드로 실제로 구현이 되어있는 상태라면 @Spy 어노

2023년 2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unit5를 통한 테스트

취업에 성공한 후... 입사 후 경험들을 담으려 이 글을 시작으로 다시 블로그를 시작하려 한다 이 글부터는 OJT에서 Junit5을 사용한 경험을 적겠다 Junit이란 무엇인가 Junit이란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JVM을 사용하는 기반의 언어에서 테스트를 위해 사용하는 테스팅 프레임워크이다 @Test 어노테이션으로 테스트 메소드를 정의할 수 있으며 assert로 실제 값이 내가 기대한 값과 일치하는지 검증한다 Mock Mock이란 진짜 객체가 아닌 가짜 객체로 진짜 객체의 동작을 모의로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한다. 가령 테스트 하려는 소스가 구글 등 다른 플랫폼의 외부 API를 사용한다고 환경이라면 우리는 테스트 시 매번 외부와 통신하기보단 외부 서비스 없이도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2023년 2월 4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