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글은 장형기님의 SLAM 기술 면접 질문 100선에 대한 제 나름대로의 답을 정리한 것입니다.
제가 아는 marginalization은 확률에서 많이 나오는 개념입니다.
이렇듯 두 변수를 가진 확률 분포를 하나의 변수에 대해 전체 범위에서 적분을 하면 그것은 하나의 변수를 가지는 확률분포가 되는 것입니다.
확률 계산 단순화
다변향 확률 분포에서 특정 변수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을 때, 관련 없는 변수들을 제거합니다.
숨겨진 변수 처리
관찰되지 않는 변수를 제거하여 모델을 간소화합니다.
계산 효율성 향상
문제의 차원을 줄이고 계산 비용을 줄입니다.
장점
문제 단순화: 관심 없는 변수 제거로 계산량 감소
효율성 향상: 고차원 문제를 저차원으로 변환
모델 간소화: 숨겨진 변수나 오래된 데이터를 제거하여 복잡도를 줄임
단점
정보 손실 가능성: 제거된 변수에 중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계산 비용 증가: 어떤 경우에는 marginalization 자체의 계산 비용 자체가 클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수학적 복잡성: Marginalization은 고차원 문제에서 구현이 어렵거나 복잡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