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한 Querydsl #8 ] 실무 활용 - 순수 JPA & Querydsl

김수호·2024년 6월 11일
0
post-thumbnail

순수 JPA 와 Querydsl 을 사용해서 회원(Member) 리포지토리를 구현해보자.

리포지토리에 구현할 로직은 다음과 같다.

  • 회원 등록
  • 회원 조회
    • ID 기준 조회
    • 전체 조회
    • 이름 기준 조회
    • 동적 검색 (회원 이름 / 팀 이름 / 나이)

1) JPAQueryFactory 스프링 빈 등록

Querydsl 을 사용하려면 JPAQueryFactory 가 필요하다.
JPAQueryFactory 은 리포지토리 생성자 내부에서 생성해도 되고, 다음과 같이 별도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서 주입받아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는 별도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서 주입받아 보자.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Querydsl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QuerydslApplication.class, args);
	}

	@Bean
	public JPAQueryFactory jpaQueryFactory(EntityManager em) {
		return new JPAQueryFactory(em);
	}
}

2) MemberTeamDto 생성

동적 쿼리 조회시, DTO로 조회하도록 MemberTeamDto 를 생성했다.
그리고 Querydsl 에서 조회 결과를 DTO로 반환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 여기서는 Projections.constructor(생성자 사용) 을 사용했다. 따라서 MemberTeamDto 생성자에 @QueryProjection 을 추가했다.
( 이후 QMemberTeamDto(Q-Type) 을 생성하기 위해 [Gradle-Tasks-other-compileJave] 를 한 번 실행하자. )

@Data
public class MemberTeamDto {

    private Long memberId;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int age;
    private Long teamId;
    private String teamName;

    @QueryProjection
    public MemberTeamDto(Long memberId, String username, int age, Long teamId, String teamName) {
        this.memberId = memberId;
        this.username = username;
        this.age = age;
        this.teamId = teamId;
        this.teamName = teamName;
    }
}

3) 회원 리포지토리 구현

순수 JPA를 사용해서 구현하기에는 효율적이지 않은 동적 쿼리에 대해서는 Querydsl 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순수 JPA를 사용해서 구현했다.

@Repository
public class MemberJpa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rivate final JPAQueryFactory queryFactory;

    public MemberJpaRepository(EntityManager em, JPAQueryFactory jpaQueryFactory) {
        this.em = em;
        this.queryFactory = jpaQueryFactory;
    }

	// 등록
    public void save(Member member) {
        em.persist(member);
    }

	// ID 기준 조회
    public Optional<Member> findById(Long id) {
        Member findMember = em.find(Member.class, id);
        return Optional.ofNullable(findMember);
    }
    
	// 전체 조회
    public List<Member> findAll() {
        return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Member.class).getResultList();
    }

	// 이름 기준 조회
    public List<Member> findByUsername(String username) {
        return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username = :username", Member.class)
                .setParameter("username", username)
                .getResultList();
    }

	// 동적 쿼리 - BooleanBuilder 를 사용한 동적 쿼리 해결
    public List<MemberTeamDto> searchByBuilder(MemberSearchCondition condition) {
        // 1) builder 를 사용한 동적 쿼리 해결
        BooleanBuilder builder = new BooleanBuilder();
        if (StringUtils.hasText(condition.getUsername())) {
            builder.and(member.username.eq(condition.getUsername()));
        }
        if (StringUtils.hasText(condition.getTeamName())) {
            builder.and(team.name.eq(condition.getTeamName()));
        }
        if (condition.getAgeGoe() != null) {
            builder.and(member.age.goe(condition.getAgeGoe()));
        }
        if (condition.getAgeLoe() != null) {
            builder.and(member.age.loe(condition.getAgeLoe()));
        }

        return queryFactory
                .select(new QMemberTeamDto( // 2) ( 한 번에 DTO 로 조회하도록 ) 성능 최적화
                        member.id,
                        member.username,
                        member.age,
                        team.id,
                        team.name))
                .from(member)
                .leftJoin(member.team, team)
                .where(builder)
                .fetch();
    }

	// 동적 쿼리 - WHERE 절에 다중 파라미터 를 넣는 방법
    public List<MemberTeamDto> searchByWhere(MemberSearchCondition condition) {
        return queryFactory
                .select(new QMemberTeamDto( // 2) ( 한 번에 DTO 로 조회하도록 ) 성능 최적화
                        member.id,
                        member.username,
                        member.age,
                        team.id,
                        team.name))
                .from(member)
                .leftJoin(member.team, team)
                .where( // 1) where절 파라미터를 사용한 동적 쿼리 해결
                        usernameEq(condition.getUsername()),
                        teamNameEq(condition.getTeamName()),
                        ageGoe(condition.getAgeGoe()),
                        ageLoe(condition.getAgeLoe())
                )
                .fetch();
    }

    // Predicate 보다 BooleanExpression 으로 하는 것이 더 좋다. ( (and, .. ) 조합 가능 )
    private /* Predicate */ BooleanExpression usernameEq(String username) {
        return StringUtils.hasText(username) ? member.username.eq(username) : null;
    }

    private BooleanExpression teamNameEq(String teamName) {
        return StringUtils.hasText(teamName) ? team.name.eq(teamName) : null;
    }

    private BooleanExpression ageGoe(Integer ageGoe) {
        return ageGoe != null ? member.age.goe(ageGoe) : null;
    }

    private BooleanExpression ageLoe(Integer ageLoe) {
        return ageLoe != null ? member.age.loe(ageLoe) : null;
    }

}

동적 쿼리는 2가지 방법으로 구현했다. ( Querydsl 에서 동적 쿼리를 작성하는 방법 )

  • searchByBuilder: BooleanBuilder 를 사용한 방법
  • searchByWhere: WHERE 절에 다중 파라미터 를 넣는 방법

 

다음 내용에서는 스프링 데이터 JPA 와 Querydsl 을 사용해서 회원(Member) 리포지토리를 구현해보자.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코드와 그림 등의 출처는 김영한 강사님께 있습니다.

profile
현실에서 한 발자국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