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문자열은 따옴표로 표시
my_str='사과' # 변수 할당/ 자료형 활용을 위해서 변수에 저장하는 것.
print(my_str) # 변수에 할당된 자료가 출력
type(my_str) # 변수에 할당된 자료의 유형을 출력
#인덱스 : 자료형을 구성하는 순번 / 첫 번째 인덱스 = 0, 마지막 인덱스 = -1
my_str[1] # '과' 출력 (인덱싱)
my_str[0:1] # '사' 출력 (슬라이싱)
문자열 병합(+)
let='abcd'
let2='1234'
문자열 대소문자 변환(upper,lower)
let.upper() # 대문자로 변환
let.lower() # 소문자로 변환
문자열 사이 추가(.join)
문자열 분리(.split)
let= 'ab cd'
#리스트 : 집합형 자료형
#리스트 정의하는 방법 1. list()를 이용해 정의, 2. []를 이용해 정의
list([1,2,3]) # 1번 방법
list2 = ['abc'] # 2번 방법
특정 순서의 자료 불러오기
a= [1,2,3,4,5]
b= ['a','b','c','d','e']
c= ['a',['b','c'],(6,7,8),9]
a[4] # 5 출력
b[3] # d 출력
c[1] # b,c 출력
c[1][0] # b 출력
c[2] # 6,7,8 출력
c[2][1] # 7 출력
리스트 병합
a+b # [1,2,3,4,5,'a','b','c','d','e'] 출력
b*2 # ['a','b','c','d','e','a','b','c','d','e'] 출력
리스트 길이 구하기(len())
len(a) # 5 출력 / 길이 구하기
len(c) # 4 출력
리스트 수정
a=[1,2,3,4,5]
리스트 삽입(.insert)
a=[1,2,3,4,5]
리스트 삭제(del)
a=[1,2,3,4,5]
리스트 추가(.append)
a=[1,2,3,4,5]
리스트 정렬(sorted VS .sort())
a=[5,3,6,2,1,4]
리스트 뒤집기(.reverse())
a=[1,2,3,4,5]
리스트 특정 문자 삭제(.remove())
a=[1,2,3,4,3,5,3]
리스트 특정 문자 빼내기(.pop())
a=[1,2,3,4,5]
#튜플 : 요소를 ()로 감싸고 있음. 요소의 생성,삭제,수정이 불가능
a= (1,2,3)
a[0] # 1 출력, 인덱싱
a[1:] #2,3 출력, 슬라이싱
b=(3,4)
b*2 # 3,4,3,4 출력
len(a) # 3
len(b) # 2
#딕셔너리 : key-value 형태의 자료형. {}로 묶여있음
#key : 딕셔너리의 인덱스와 같은 개념, 인덱스로 불러오기는 안되며, 특정 key 값으로 접근해야함
#value : key와 엮여 있는 값
gdp_dict ={'한국':3000,'미국':5000,'일본':4000}
딕셔너리 값 출력
a= {"name":"James","age":27,"city":"jeju"}
a["name"] # name에 맞는 value 출력
a["city"]
딕셔너리 키-값 추가
a["job"] = 'student'
a # job이라는 key, student라는 value 추가
딕셔너리 값 수정
a['age'] = 30 # 나이가 27에서 30으로 수정
딕셔너리 키-값 삭제
del a['city'] # city의 key, value 삭제
!
a.keys() # key 값만 출력
a.values() # value 값만 출력
a.items() # (키,값),(키,값),(키,값) 형태로 출력
a.clear() # 모든 요소 삭제
딕셔너리 키 존재 여부 확인('key' in dict)
a= {"name":"James","age":27,"city":"jeju"}
'job' in a # key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 job이라는 키는 없기에 False 출력
'name' in a # name 이라는 키는 존재하기에 True 출력
#Set vs Dictionary
#Set : 중복된 값을 추가하면 변화 없음. 고유한 값의 집합을 관리, 중복제거와 집합 연산에 적합
#Dictionary : 키-값 쌍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 검색 및 매핑관계 저장에 효율적
헷갈릴 만 한 사례
tests= [1,2,3,4,5]
tests1= tests+['apple','banana', 1, 2]
tests1 = [1, 2, 3, 4, 5, 'apple', 'banana', 1, 2] 로 출력
list01 =[{'1':13,'name':142},[102,(1,23),4],(11),{14,'apple'},'!']
list01[1][1] = (1,23) 출력
len(list01) = 5 출력
함수란?
내장 함수 : 사전에 정의된 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 : 내가 필요해서 만든 함수
함수의 구성요소
def 함수이름(매개변수1, 매개변수2):
수행할 코드 1
수행할 코드 2
return 결과값
예시)
def add(a,b):
return a+b
def add(a,b):
result a+b
print(result)
= a+b 값 None 출력
! return은 함수를 바로 종료시키면서 반환할 값 정의. 지정하지 않으면 None 출력.
! 여러 개의 값 return
반환 값이 여러 개일 경우, 결과형은 튜플 ().
map 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