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예제 #1
"le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예제 #2
"vink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예제 #3
"mislav"는 참여자 명단에는 두 명이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한 명밖에 없기 때문에 한명은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s, int n) {
String answer = "";
return answer;
}
}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participant, String[] completion) {
String answer = "";
Arrays.sort(participant);
Arrays.sort(completion);
for(int i = 0; i < completion.length; i++){
if(!participant[i].equals(completion[i])){
answer = participant[i];
return answer;
}
}
answer = participant[participant.length -1];
return answer;
}
}
하나의 문장에서도 원하는 조건이 있으니 잘 체크하기!!!
import java.util.HashMap;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participant, String[] completion) {
String answer = "";
// 해시맵을 선언하여 참가자의 이름을 키로, 이름의 개수를 값으로 저장
HashMap<String, Integer> map = new HashMap<>();
// participant 배열을 순회하면서 각 참가자의 이름을 해시맵에 저장
for (String p : participant) {
// getOrDefault 메서드를 사용하여 이미 해시맵에 존재하는 이름이면 값을 증가시키고,
// 존재하지 않으면 0을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1을 더해준다.
map.put(p, map.getOrDefault(p, 0) + 1);
}
// completion 배열을 순회하면서 각 완주자의 이름의 값을 해시맵에서 감소시킨다.
for (String c : completion) {
map.put(c, map.get(c) - 1);
}
// 해시맵을 순회하면서 값이 0이 아닌 키(참가자 이름)를 찾는다.
for (String key : map.keySet()) {
if (map.get(key) != 0) {
return key;
}
}
return answer;
}
}
자바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클래스로, 키-값(key-value) 쌍을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해싱(hash)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때문에 빠른 조회가 가능하다.
각 키는 유일하며, 값을 중복할 수 있다.
키를 이용해 값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다.
put(key, value) 매서드 : 키와 값을 해시맵에 저장한다. 이미 존재하는 키면 기존 값을 덮어쓸 수 있다.
get(key) 메서드 : 주어진 키에 대응하는 값을 반환한다. 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null을 반환한다.
getOrDefault(key, defaultValue) 메서드 : 주어진 키에 대응하는 값을 반환하며, 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본값(defaultValue)을 반환한다.
keySet() 메서드 : 해시맵에 저장된 모든 키를 반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