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이프로젝트]당근마켓 구현하기(5) - Kakao API 적용하기

gamja·2022년 11월 16일
0
post-thumbnail

카카오 간편로그인 API를 적용해보기로 했다. 처음 도전하는 거라서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지만 한 번쯤은 간편로그인 적용을 해보고 싶었기에 이번에 도전해보려 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아래 사진을 반드시 이해하고 구현 단계에 들어가기

출처: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login/rest-api

전반적인 순서

  • 카카오 developer에서 API Key 발급받기.
  • 플랫폼 설정(사이트 도메인, Redirect URI 등록)
  • 구현하기

참고로 이번 글에서는 플랫폼 설정까지만 포스팅할 예정이다.


1. 카카오 developers에 로그인 하기

카카오 developers 사이트에 들어가서 로그인 또는 내 애플리케이션을 누르면 login을 할 수 있다.

2. 내 애플리케이션 생성


생성 방법은 내 애플리케이션 생성 -> 항목 작성 -> 끝


위에 사진처럼 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었다.

3. 웹 플랫폼 생성

3-1. 사이트 도메인 작성하기


localhost에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있으므로 localhost 주소를 작성해주었다.

3-2. 도메인 작성 완료

4. 카카오 로그인 활성화

4-1. 카카오 로그인 활성화하기

4-2. 동의 화면 미리보기

5. Authorization 인증하기

5-1. 요약정보에서 REST API 키 확인

5-2. Postman에서 토큰 얻기

5-2-1. type 선택하기


위의 사진처럼 Authorization에서 Type을 oauth2.0을 선택해주면 설정 항목들이 생긴다.

5-2-2. configure 작성해주기

  • Token Name : 아무 이름이나 해도 된다.
  • Callback URL : Redirect URL을 적어준다.
  • Auth URL : 똑같이 작성하기
  • Access Token URL : 똑같이 작성하기
  • Client ID : REST API 키를 작성해준다.

5-2-3. Get New Access Token 버튼 누르기


버튼을 누르면 위의 사진처럼 익숙한 화면이 뜬다.
만약 카카오 계정이 없고 네이버로 간편로그인 해왔다면 그냥 네이버 계정으로 해도 상관 없다. (나는 그렇게 함)

5-2-4. 카카오로 로그인 -> 토큰 발급 받기

5-2-5. use Token 클릭

6. 로그인 확인

6-1. 로그인 성공 확인

https://kapi.kakao.com/v1/user/access_token_info

위에 주소를 postman에서 get요청하면 위에 사진처럼 결과가 나온다.

6-2. 로그인 정보 확인

https://kapi.kakao.com/v2/user/me

로그인 정보를 가지고 오고 싶다면 위에 url로 접근하면 된다.

7. 전달 받을 데이터 설정

나는 아래와 같이 이메일을 선택동의로 설정해두었다.

이렇게 kakao api를 이용해 로그인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으니 이제 코드를 짜야 한다. 그건 다음 장에서 다룰 예정이다.

참고 블로그
https://webruden.tistory.com/272
https://han-py.tistory.com/415

profile
눈도 1mm씩 쌓인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