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라이드 : [시작:끝:증가값]으로 일정한 각을 두고 슬라이싱을 할 수 있음
(슬라이싱:연속적인 객체들에(예: 리스트, 튜플, 문자열) 범위를 지정해 선택해서 객체들을 가져오는 방법 및 표기법을 의미합니다.
ex) a=x[0:2])
ex1)
x = ['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자주']
a = x[::2] #0,2,4
b = x[1::2] # 1,3,5
print(a)
print(b)
['빨강', '노랑', '파랑']
['주황', '초록', '자주']
ex2)
x[2::2]. ['노랑','파랑']
x[-2::-2]. ['파랑','노랑','빨강']
x[-2:2:-2] ['파랑']
x[2:2:-2] []
_:)슬라싱 구문에 스트라이딩까지 들어가면 가독성이 떨어짐 특히 음수 값은 더 그러함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방대한 데이터를 슬라이스를 만들때 양수 증가값을 먼저 이용
이후 슬라이싱을 진행
y=[x::2] ['빨강','노랑','파랑']
z=y[1:-1] ['노랑']
위와 같은 처리 방법은 : 얇은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