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스크립트 연습 > $ mkdir ts-practice # ts-practice 라는 디렉터리 생성 $ cd ts-practice #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 $ yarn init -y # 또는 npm init -y 이렇게 하면 ts-practice라는 디렉터리에 pa
저번에는 타입스크립트의 기초를 공부해보았습니다.이번에는 리액트 컴포넌트를 타입스크립트로 작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공부해보겠습니다.우선,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생성해 봅시다.위와 같이 뒤에 --typescript가 있으면 타입스크립트 설정이 적용된 프로젝트가
지난 시간에는 타입스크립트가 적용된 리액트 프로젝트를 만드는 방법과, 타입스크립트로 컴포넌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이번에는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리액트 컴포넌트에서 useState 및 useReducer를 사용하여 컴포넌트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과 useRef
이번에 공부할 것은 타입스크리븥 환경에서 Context API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xt API를 사용함에 있어서, 코드의 구조를 어떻게 가져갈 ㅣ젱 대해서는 딱 정해진 방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Context 를 준비하는 과
이번에 할 공부는 TypeScript 환경에서 Redux를 프로처럼 사용하는 방법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기본적인 리덕스 코드 작성 방법을 알아보고, 나중에 더욱 프로처럼 사용해보는것도 배워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