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의 발전과정
전통적 배포 방식
하나의 컴퓨터에 하나의OS 설치 그 위에 계정을 나눠 여럿 이서 사용할 수 있지만 독립적이지 않아 계정과 계정 사이에 서로 영향을 미침
가상화 배포 방식
하나의 컴퓨터에서 하이퍼바이저라는 중간계층을 통해 여러개의 OS를 구동 할 수 있게 해줌 OS위에 올라가는 앱은 독립적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지 못함
이러한 형태를 샌드박스 되었다 라고도 함
단점으로는 일일이 OS를 설치해야한다는 점이 있다

클라우드의 종류
온프레미스 오프프레미스
하드웨어 서버를 직접 보유하고 유지 관리 하는지 여부에 따른 분류
서비스 방식에 의한 분류
IaaS
인프라 형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 만을 제공하며 필요한 것은 개발자가 설치 및 구현해야 한다 대신 서비스에 종속되지 않음
PaaS
플랫폼 형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며 이미 설치 되어있는 서비스를 클릭을 통해 쉽게 이용 할 수 있다 모니터링 CI/CD가 제공됨
SaaS
소프트웨어형 클라우드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해당 소프트웨어를 어디서나 어느컴퓨터에서나 사용하기 위한 경우 사용함 google Docs가 대표적
인프라형 vs 플랫폼형
인프라형은 유연하며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지만 플랫폼형은 유연하지 않고, 플랫폼에 종속됨
인프라형은 이식성이 높고 플랫폼형은 이식성인 낮음
인프라형은 운영비효율이 낮고 플랫폼형은 운영비 효율이 높다
컨테이너와 도커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이 한 컴퓨팅 환경에서 다른 컴퓨팅 환경으로 빠르고 안정적으로 실행되도록 코드와 모든 종속성을 패키징하는 소프트웨어의 표준단위, OS를 공유하기때문에 빠르고 경량화됨 격리성도 훌륭하지만, OS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앱에도 영양을 줄 수 있다
일일이 os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서 가볍다
ex) 새로 개발 환경 설정 시 편리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커는 컨테이너가 필요한 기능을 거의 모두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환경설정관련 절차를 도커파일에 작성하고 그 후 빌드 하면 도커 이미지가 생성됨된다 그 도커 이미지를 실행시키면 도커컨테이너가 만들어진다
도커는 인프라형 클라우드 서비스와 플랫폼형 클라우스 서비스의 장점만을 모아놓은 서비스라고 보면 좋다

컨테이너가 다운 되었을 경우를 위한 쿠버네트스도 있다 추후에 공부해 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