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d day 9
-> jdk 언어를 먼저 설치하고 그 후 workspace인 eclipse를 다운한다.
import : 프로젝트(프로그램)를 끌어오는 것. 임포트 할 떄 Copy projects into workspace를 체크 안해주면 그대로 가져오기 때문에 백업 프로젝트가 사라진다.
ctrl + f11 : 컴파일러 실행
ctrl + alt + 방향키 : 현재 줄 복사
ctrl + d : 현재 줄 삭제
백업 and 임포트 중요!
public class Hello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Test01");
}
}
Java 프로젝트 name의 첫 글자는 항상 대문자이다.
하나의 프로젝트에 같은 이름의 클래스가 있으면 안된다.
컴파일러가 .class파일을 기계어로 번역하여 실행한다.
수천 개가 넘는 API들을 구분하는 기준은 패키지이다. (ex. java.lang) - java.lang.* 은 상단에 import를 써주지 않아도 묵시적으로 적용된다.
Import 자동으로 추가 command > Ctrl + Shift + o
컴파일 오류(문법 오류)는 붉은색으로 해당 줄이 표시되고, 실행되지 않는다.
논리 오류는 컴파일러가 실행 했을 때, 콘솔 결과창에서 해당 논리 오류 line 전까지 결과가 출력되고 해당 줄에서 출력되는 값이 나올 순서일 때 오류결과가 나온다.
클래스는 속성을 표현하는 멤버변수와 동작을 나타내는 메소드를 가지고 있다.
main함수가 끝날 때, 메소드가 끝나고 속해있는 변수들은 사라진다.
syso입력 후 자동완성 키를 누르면 System.out.println()이 자동완성된다.
출력 / 계산 등 처리 함수는 함수 안에서 작성되어야 한다.
클래스 블록에서도 처리 함수는 처리할 수 없다.
다만 클래스 블록에서 변수 선언은 가능하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 { ... }
접근제어자 반환타입 메소드 이름(매개변수 목록) { ... }
- println : 출력 후 개행(줄바꿈)
- print : 출력
- printf : c언어에서 지원하는 함수. java도 사용 가능
첫 문자는 반드시 영문자이어야 한다. 그 다음 문자부터는 숫자와 문자를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따. _(언더스코어)나 $(달러기호)는 첫 문자로 사용할 수 있다.
자바는 대소문자를 엄청나게 구별한다. 주의!!
식별자에 대한 길이제한은 없으며, 공백문자 사용 X
ex)
userName - camel(낙타) 표기법
user_name
_sys_name
$myName
: 자바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식별자이다.
개발자는 예약어를 이용해서 클래스 이름, 변수 이름 또는 메소드 이름을 지정해서는 안된다.
: 자바프로그램 언어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종류를 의미한다.
자바언어에게 처리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어떤 종류인지를 알려줘야 제대로 처리할 수 있다.
자바는 2가지 형태의 데이터가 있다.
- 기본 데이터 형
--> int a = 100;
값 100이 문자 a에 저장된다. 실제 데이터 저장.- 참조 데이터 형
--> String b = "Hello";
Hello 문자열이 b에 저장되는 것이 아닌 데이터가 있는 b의 주소에 저장된다. 주소를 참조.
논리형 - boolean
문자형 - char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 float, double
boolean은 반드시 소문자 true, false값 중 하나를 가진다.(0,1 TRUE, FALSE 안된다.)
boolean result = false;
boolean falg = true;
char은 반드시 하나의 문자를 기자며 16비트 유니코드 값을 표현한다. 반드시 ''(single quotes)를 사용해서 표현한다.
char c = 'A";
int num = 'A' + 1; --문자를 정수형으로 변환 가능
클래스, 배열, 인터페이스
문자열은 참조 형에 속한다. String클래스를 이용해서 표현하고 ""(double quotes)를 사용해서 표현한다.
String name = "홍길동";
int [] arr = {1, 2, 3, 4};
Student stu = new Student("유관순", 17, "서울");
문자형 리터럴:하나의 문자 데이터를 의미하며 반드시 ''(single quotes)로 표현한다.
영문자 이외의 유니코드를 표현할 때에는 \u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자' --> '\u4567'
'바' --> '\uBC14'
다음과 같은 특별한 형태의 escape문자도 사용할 수 있다.
정수형 리터럴: 일반적인 정수데이터를 의미한다. 10진수, 8진수, 16진수, 2진수로 표현 가능하다.
실수형 리터럴: 일반적인 소수점을 가진 실수 데이터를 의미한다.
논리형 리터럴: 참/거짓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논리 데이터이다. java에서는 true또는 false만이 논리형 상수 값으로 이용된다.
boolean b = 0; //컴파일 에러 발생
boolean c = FALSE; //컴파일 에러 발생
: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되기 때문에 기본 데이터형 변수와 참조 데이터형 변수로 구분할 수 있다.
사용할 떄는 다음 순서로 처리해야 한다.
1. 변수 선언
2. 변수 초기화
int num; //변수 선언
num = 3; //변수 초기화
변수와 코드 블록(code block)
: 변수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블록 단위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블록은 ‘{’ 으로 시작하고 ‘}’ 끝나는 코드 묶음을 의미한다. 코드 블록은 클래스와 메서드, 생성자, 조건문 , 반복문 등 자바 코드내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블록간에는 서로 다른 영역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같은 이름을 가진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