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class101의 제주코딩베이스캠프 강의를 듣고 개인 공부를 위해 정리한 것입니다.
1991년 귀도 반 로섬이 발표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 : 내가 의도한 바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기계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 (low-level programming language)
컴퓨터가 이해하기 쉽게 작성된 프로그래밍 언어, 일반적으로 기계어 또는 어셈블리어.
실행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려우며 유지보수가 힘들다.
현재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되지 않는다.
- 기계어
컴퓨터가 사용하는 언어, CPU가 명령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언어
이진수(binary number)로 구성
- 어셈블리어
기계어의 숫자를 의미 있는 단어로 바꿔서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만든 언어
어셈블러 : 기계어를 어셈블리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print("Hello World")
>>> hello world
- 인터프리터 언어 : 소스코드를 한 줄 단위로 변환하고 실행하는 언어 → Python, R, Ruby, ...
- 컴파일러 언어 : 코드 전체를 기계어로 변환하여 실행하는 언어, 인터프리터 언어에 비해 안정적이며 속도가 빠르다 → C, C++, Java, ...
예를 들어 파이썬 개발자라고 한다면 django
나 flask
, cloud
사용법(aws
,Azure
), ubuntu
나 centOS
, 버전관리 github
등
가고 싶은 기업의 채용공고를 보면 어떤 기술 스택을 원하는지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