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글은 책 [알고리즘으로 배우는 치트시트]와 샌디에고 주립대학 Edwards 교수님의 강의를 참고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1. 알고리즘 학습과 문제해결 아이디어

알고리즘은 단순히 말하자면 문제의 유형을 파악하여 아이디어와 해법을 도출해내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를 알아야 한다.

  • 데이터 구조와 저장 방식
  • 데이터 구조의 기본 조작
  • 알고리즘 문제 해결 가이드

이제 차근차근 각 항목에 대해 Deep Dive해보도록 한다.

1.1 데이터 구조와 저장방식

핵심은 다음과 같다.

문제 분석시, 데이터의 기본 저장방식인 하부구조 에서 상부구조 , 즉, 구체적인 방식으로 사고하는 것이 핵심.

하부구조란, 데이터의 기본 저장 방식으로,

  • 배열
  • 연결리스트

가 있다.

아래는 상부구조에 속하는 것들이며, 우리가 흔히 아는 자료구조라고 할 수 있다.

  • 해시테이블
  • 스택
  • 트리
  • 그래프

즉, 배열과 연결리스트를 통해 위와 같은 상부구조(해시테이블, 스택, 힙등)을 절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큐(Queue), 스택(Stack)은 배열의 확장 축소 문제를 다루고, 연결리스트의 메모리 공간 문제를 다룬다. 모두 두가지 하부구조로 구현이 가능하다.

1.1.1 데이터 저장 방식의 장단점

다만, 배열과 연결리스트의 장단점이 있다.

장점단점



배열



1. 연속된 저장 방식을 사용하므로 임의로 접근이 가능

2. 인덱스를 통한 빠른 접근

3. 저장 공간을 절약
1. 연속되는 저장방식으로 인해, 메모리 공간을 한 번에 할당해야함.

2. 배열 확장시 시간 복잡도는 O(N)



연결리스트1. 다음의 위치를 가르키는 포인터에 의존하기 때문에 배열의 확장과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2. 요소의 선,후행요소만 알면 조작해 제거, 삽입이 수월하고 시간복잡도가 O(1)
1. 저장 공간이 연속되지 않아 임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2. 각 요소에 반드시 선/후행의의 위치에 대한 포인터를 저장해야 함 >> 많은 메모리 소모

1.2 데이터 구조의 기본 조작

모든 데이터구조에서 기본작업은 순회(trzversal) 접근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추가, 삭제, 검색, 수정이다.

그리고 각 데이터 구조에 대한 순회와 엑세스는 선형, 비선형 방식이 있고 아래가 각 방식에 대한 대표적인 예이다.

  • 선형: for/while 반복
  • 비선형: 재귀

1.2.1 배열

배열 순회는 전형적인 선형 반복 구조이다.

//배열의 기본조작, 순회는 선형방식(for문)!
void traverse(in[] arr){
	for(int i=0;i<arr.length;i++){
    //반복 엑세스 arr[i]
    }
}

1.2.2 연결리스트

연결리스트의 핵심은 노드 이며 이를 정의하는 클래스 코드는 다음과 같다.

public class LinkedList<E> implements ListI<E>{
/* ************************************************** */
    //Inner class (Type Node<E>), Nothing else can access!!
    class Node<E>{
    	E data; //Type E
        Node<E> next; 
    
    //Constructor
    public Node(E obj){	//(E obj) 항상 어떠한 객체를 받게됨
    	data = obj;
        next = null; // initialization next pointer
    }
}
/* ************************************************** */
	private Node<E> head;
    private int currentSize; 
    // makes time complexity O(1) when each node in LinkedList increases the size by 1
    
    //constructor
    public LinkedList(){
    	head = null;
        currentsize = 0;
    }
    .....
}

아래 그림은 해당 코드(연결리스트에서의 노드)를 연결리스트화해서 시각화 한 것이다.

연결리스트는 순회와 반복 및 재귀구조를 갖는다.

class ListNode{
	int val; 
    ListNode next;
}

void traverse(ListNode head){
	for(ListNode p = head; p!=null; p=p.next){
    //p.val반복
    }
}

void traverse(ListNode head){
	//전위 순회 head.val
    traverse(head.next);// 다음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파라미터에 넣고 재귀 돌리기!
    //후위 순회 head.val 
}

갑자기 전위, 후위 순회가 튀어나왔다.

핵심은 프레임 사고이다.

이를 연마하기 위해서는 이진 트리가 제 격이므로 잠깐 다루고자 한다.

연결리스트의 전위, 후위 순회가 있듯, 이진 트리에서도 전위, 중위, 후위순회가 있다. 예를 들어 head.val을 프린트하면 순서대로 프린트하며, 후위 순회는 반대로 프린트한다.

이진트리에서의 전위 순회

  • 순서: Root - Left - Right
class TreeNode{
	int val;
    TreeNode left;
    TreeNode right;
    public TreeNode(int val){
    	this.val = val;
        this.left = null;
        this.right = null;
    }
}
void preOrderTraversal(TreeNode root){
	if(root == null) return;
    System.out.println(root.val + " ");	// visit root node
    preOrderTraversal(TreeNode left);	//traverse left subtree
    preOrderTraversal(TreeNode right);	//traverse right subtree
}

중위 순회

  • 순서: left - Root - Right
void inOrderTravseral(TreeNode root){
	if(root==null)return;
    inOrderTraversal(root.left);
    System.out.println(root.val+ " ");
    inOrderTraversal(root.right);
    
}

후위 순회

  • 순서: left - Right - Root
void postOrderTravseral(TreeNode root){
	if(root==null)return;
    postOrderTraversal(root.left);
    postOrderTraversal(root.right);
    System.out.println(root.val+ " ");
    
}

햇갈리니 다음 그림을 잘 참고하자.
[reference : 전,중,후위순회의 이해를 돕는 그림]
현무님의 Naver Blog 이진트리-순회방법-swift 중...

이진 트리 순회는 일반적인 비선형 재귀 순회 구조이다.

class TreeNode{
int val;
TreeNode left, right;
}
void traverse(TreeNode root){
	//전위순회
	traverse(TreeNode left);
    //중위순회
    traverse(TreeNode right);
    //후위순회
}

이진트리 순회는 N항 트리 순회로 확장이 가능하다.

class TreeNode{
	int val;
	TreeNode[] children;
]
void traverse(TreeNode root){
	for(TreeNode child: root.children)
    	traverse(child);
} 

다시한 번 강조하지만, 핵심은 프레임 사고이다. 추가, 삭제, 수정,검색에 상관없이 프레임을 참고하고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문제에 코드를 추가하면 된다.

다음 포스팅에서 데이터 구조의 특성과 단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알고리즘을 학습한다.

좀 더 고민하기

배열의 저장곤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연결리스트와 비교할 수 있는 것인가?

포스팅을 하며 느낀점

기본적으로 알고 있고 익숙한 용어라고 해도 이 책의 저자의 설명하는 방식이 독측하여 이해하는데 시간이 꽤 걸렸다. 2 회독을하며 또 새로운 것 같다. 역시 학습은 반복학습이 중요함을 체감한다...

또 책에서 함축하고 있는 내용이 있어 (독자가 다 알거라 하지만 나는 잘 이해 못함...ㅜ) 추가 설명을 위해 글이 너무 길어진 느낌이다...

profile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고 크게 생각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