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학습] 11일차 ~9.3

제트·2025년 1월 24일
0

9.1 변수와 상수

9.1.1 변수

  • 키워드 : 역할이나 기능이 정해진 특별한 단어
    • var, let, typeof 등
  • 식별자 : 변수, 함수 등에 부여되는 이름
  • 연산자 : 연산 작업에 사용
  • 표현식 : 값을 반환하는 식 또는 코드
  • 값 : 더 이상 평가할 수 없는 데이터
  • 세미콜론 : 하나의 문이 끝났음을 의미
  • 선언 : 변수의 식별자를 지정하는 행위
  • 할당 : = 기호로 우변에 있는 값을 변수 공간에 대입하는 것
  • 초기화 : 선언과 할당을 한 번에

9.1.2 새로운 변수 선언 키워드 let

  • 변수명 중복 불가
  • 호이스팅 불가
  • 스코프의 범위 다름

9.1.3 상수

  • const 키워드 사용
  • 재할당이 안 되어 선언 먼저하고 할당 나중에 하는 것도 안 됨

9.2 자료형

9.2.1 문자열

  • 큰따옴표나 작음따옴표로 둘러싸인 값의 형태
  • 템플릿 문자열 : 백틱으로 문자열 정의하는 방법
    • 엔터 눌렀을 때 줄 바꿈 적용됨
    • ${} 문법 사용해 문자열에 변수, 식 넣을 수 있음

9.2.2 숫자형

  • 자바스크립트는 정수와 실수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숫자 자료형 취급
    • 10과 0.1은 같은 숫자형

9.2.3 논리형

  • true, false 의미

9.2.4 undefined

  • 변수와 상수 공간에 임시로 데이터 할당할 때 할당되는 값

9.2.5 null

  • 변수나 상수 선언하고 의도적으로 선언한 공간 비워둘 때 할당

9.2.6 객체

  • 자바스크립트의 핵심적인 자료형
  • 객체 자료형에서 파생되는 자료형 > 배열, 객체 리터럴, 함수
  • 배열
    • 복수의 데이터 정의할 수 있는 자료형
    • 요소 : 배열로 정의한 데이터
    • 인덱스 : 0부터 시작하는, 위치를 가리키는 숫자
  • 객체 리터럴
    • 객체 정의하는 방법
    • 객체 정의 시 중괄호 사용, 키와 값의 한 쌍 구성인 속성 들어감

9.3 연산자

9.3.1 산술 연산자

  • 이항 산술 연산자
  • 단항 산술 연산자
    • 전치 연산
    • 후치 연산
  • 단항 부정 연산자 : 부호 반대로

9.3.2 대입 연산자와 복합 대입 연산자

  • 대입 연산자 : =
  • 복합 대입 연산자 : +=, -= /=, *=, %/, **/

9.3.3 비교 연산자

  • == : 값 동일
  • === : 값과 자료형 동일
  • !=, !==, <, <=, >, >=

9.3.4 논리 연산자

  • x&&y : x 참이면 y 반환, 거짓이면 x 반환
  • x||y : x 참이면 x 반환, 거짓이면 y 반환
  • !x : x 참이면 false 반환, 거짓이면 true 반환

9.3.5 삼항 연산자
x?y:z : x 참이면 y 반환, 거짓이면 z 반환

9.3.6 연사자 우선순위

  • 1 : 그룹 연산자, 대괄호 연산자, 마침표 연산자
  • 2 : 증감 연산자, 단항 부정, not delete new typeof 연산자
  • 3 : 나눗셈, 곱셈, 나머지 연산자
  • 4 : 덧셈, 뺄셈

9.3.7 형 변환

  • 데이터의 자료형이 다른 자료형으로 바뀌는 것
  • 암시적 형 변환
  • 명시적 형 변환 >> String() 메서드 > 문자열을 숫자로
profile
소프트웨어학부 3학년 / 프론트엔드 웹 개발 공부 중입니다 / iot, 임베디드 분야에도 관심 있습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