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학습] 3일차 - 3장(~3.5)

제트·2025년 1월 8일
0

3.1 텍스트 작성하기

3.1.1 hn 태그

  • hn 태그는 제목이나 주제를 나타내는 텍스트 표현 시에 사용
  • h1부터 h6까지 있음
  • h는 heading 의미, n에 들어가는 숫자는 중요도 의미
  • hn 태그로 작성된 텍스트는 검색 엔진에서 키워드로 인식
  • 중간에 숫자 건너 뛰지 않고, 단계적으로 사용해야 함

    [형식]
    < hn> 제목 </ hn>

3.1.2 p 태그

  • 본문의 문단 작성 시에 사용

    [형식]
    < p> 내용 </ p>

3.1.3 br 태그

  • 문단에서 줄 바꿈 시에 사용
  • html은 모든 명령이나 지시를 태그로 해야하기에 줄바꿈을 원하면 잊지 않고 사용할 것

    [형식]
    < br>

3.1.4 blockquote 태그

  • 출처에서 인용한 문단 단위의 텍스트 작성 시에 사용
  • 출처가 확실한 인용문은 cite 속성으로 출처 경로 명시해야함
  • 해당 태그는 반드시 한 개 이상의 p 태그를 포함해야 함

    [형식]
    <blockquote="출처 url">문단 단위 인용문< /blockquote>

3.1.5 q 태그

  • 문단 안에 텍스트 단위의 짧은 인용문을 작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태그
  • q 태그를 사용한 콘텐츠는 큰따옴표로 묶임

    [형식]
    < q cite = "출처 Url">짧은 인용문< /q>

3.1.6 ins와 del 태그

  • ins 태그 : 새로 추가된 텍스트 임을 나타낼 때 사용 (밑줄 표현)
  • del 태그 : 기존에 있던 텍스트가 삭제된 텍스트 임을 나타낼 때 사용(취소선 표현)

    [형식]
    < ins>추가 텍스트< /ins>
    < del>삭제 텍스트< /del>

3.1.7 sub와 sup 태그

  • 각각 아래 첨자, 위 첨자에 해당하는 텍스트 작성 시에 사용

    [형식]
    < sub> 아래 첨자 < /sub>
    < sup> 위 첨자 < /sup>

/
/
/

3.2 그룹 짓기

  • 네이버의 경우, 검색/로그인/본문 배너/사이드 배너 등으로 그룹
  • 그룹을 지으면 레이아웃 구성, 페이지 구성이 깔끔해짐

3.2.1 div 태그

  • 블록 요소와 인라인 요소를 그룹으로 묶을 때 사용

    [형식]
    < div> < /div>

3.2.2. span 태그

  • 인라인 요소를 그룹으로 묶을 때 사용
  • 하나의 태그 안에 작성된 텍스트 일부만 디자인을 다르게 적용하려면 태그 안에서 공간을 분할 해야 함. 이럴 경우에 span 태그 사용
  • 그룹으로 묶어 요소의 공간 분할하면 분할 요소에 css로 스타일 적용 가능

    [형식]
    < span> < /span>

/
/
/

3.3 목록 만들기

3.3.1 ul 태그

  • ul(unordered list) 순서가 없는 비순서형 목록 생성 시에 사용
  • 이 때 목록은 li(list item) 태그로 구성
  • ul 태그 사용 시, 목록 내용 마다 글머리 기호가 붙음

    [형식]
    < ul>
    < li> 목록 내용< /li>
    (중략)
    < /ul>

3.3.2 ol 태그

  • 순서형 목록을 생성할 때 사용
  • li로 목록 내용 구성

    [형식]
    < ol>
    < li> 목록 내용 < /li>
    (중략)
    < /ol>

3.3.3 dl 태그

  • 정의형 목록(용어와 용어 설명을 나열한 형태의 목록)을 만들 때 사용
  • dl 태그 목록 생성할 때 dt 태그로 용어, dd 태그로 설명 작성

    [형식]
    < dl>
    < dt>용어 1< /dt>
    < dd>용어 설명 1< /dd>
    (중략)
    < /dl>

/
/
/

3.4 링크와 이미지 넣기

  • 링크 : 문서와 문서 간의 연결. 기본적으로 a 태그 사용
  • 이미지 객체 삽입 시에는 img 태그로 작성

3.4.1 a 태그

  • html에서 내부나 외부 링크 생성
  • 대상 경로를 의미하는 href 속성 필수로 사용
  • target, title 속성은 선택해서 사용 가능

    [형식]
    < a href="대상 경로" target="링크 연결 방식" title = "링크 설명">< /a>

  • href 속성
    • a 태그로 생성하는 링크의 대상 경로 입력 시에 사용
    • 속성값은 대상 경로의 주소(url)이거나 내부 문서의 id 속성값
  • target 속성
    • 링크 생성할 때 대상이 연결되는 방식
    • _blank, _parent, _self, _top 사용 가능
    • 새 창이 열리는 _blank 제외 거의 사용하지 않음
    • target 속성은 생략 가능
  • title 속성
    • 링크 설명하는 텍스트
    • 생략 가능

3.4.2 img 태그

  • 이미지 객체 삽입 시에 사용
  • src 속성과 alt 속성으로 구성

[형식]
< img src="이미지 경로" alt="이미지 설명" >

  • src 속성

    • 삽입하려는 이미지 경로 입력하는 속성
    • 항상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Html 파일의 위치가 기준
    • ./ : 현재 폴더 (생략 가능)
    • ../: 상위 폴더
  • alt 속성

    • 삽입한 이미지 객체를 설명할 수 있는 텍스트

3.4.3 이미지 링크

  • img 태그를 a 태그 안에 사용해 이미지를 클릭했을 때 특정 링크로 이동하게 하는 것

    [형식]
    < a href = "대상 경로">
    < img src ="이미지 경로" alt = "대체 텍스트">
    < /a>

/
/
/

3.5 텍스트 강조하기

3.5.1 strong 태그

  • 텍스트 의미 강조할 때 사용
  • 스타일에서 차이를 두기 위해 시각적으로 텍스트를 굵게 표시
  • 중첩 사용 가능

    [형식]
    < strong> 중요한 의미가 있는 텍스트 < /strong>

3.5.2 em 태그

  • 텍스트 의미 강조할 때 사용
  • 텍스트가 기울어져 보이나 강조 효과 낼 수 있음
  • 중첩 사용 가능

    [형식]
    < em>강조하고 싶은 텍스트 < /em>

profile
소프트웨어학부 3학년 / 프론트엔드 웹 개발 공부 중입니다 / iot, 임베디드 분야에도 관심 있습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