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26 내용 추가)
기본적인 설정 방법
언리얼 엔진 공식 문서
https://docs.unrealengine.com/4.27/en-US/SharingAndReleasing/Mobile/Android/Setup/AndroidStudio/
한국어버전을 따를 경우 주화입마에 빠질 수 있으므로 영문판을 따르는 것을 추천.
아래는 설정이 삐끗한 경우 나타난 각종 에러들을 해결한 내역임.
java를 따로 설치해야할 경우 jdk 8 설치
각종 시도들
언리얼 엔진을 사용해 안드로이드 패키징을 시도해봤다. 초기 설정 단계에서 NVPACK을 설치했다가 무지성 삭제를 감행해서 그런지 환경변수부터 SDK 빌드 툴 버전까지 모든게 꼬여버려 고치는 시간이 많이 들었다... 다음은 빌드 성공창이 뜨기까지 시도했던 것들이다.
1. Android Studio 3.5.3 설치

- 저기 있는 SetupAndroid.bat을 메모장에서 열어보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들어있었다.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3.5.3을 설치해야 한다는 문구가 들어있길래 설치한 뒤 패키징 해본 결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4.0이 설치되어 있었을 때는 패키징이 진행되다가 실패했던 것과는 달리 언리얼 에디터에서 바로 언리얼 엔진 공식 문서 404 not found 페이지가 열렸다. -> 실패
2. 다시 Android Studio 4.0 설치 후 언리얼 프로젝트 세팅 - SDK 설정의 경로를 모두 수동으로 지정

- 빌드가 진행되다가 실패한다. 로그를 확인해본다.
3. 환경변수 수정
- 환경변수가 NVPACK 경로로 설정되어 있어 javac조차 실행이 되지 않아 환경변수부터 다시 설정했다. 환경변수를 설정하다보니 gradle, ant도 NVPACK 경로에 설치되어 있었던 것 같아 다시 설치하고 경로를 설정했다. -> 경로는 제대로 설정되었으나 빌드는 여전히 되지 않음.
4. 언리얼 엔진에서 제공하는 배치 파일을 통해 ndk 설치하기
- SetupAndroid.bat을 실행시켜 ndk를 설치했다.
- 이 과정에서 C:\Users[사용자이름].android의 repositories.cfg 관련 경고가 떴다.
- 해당 경고는 없어졌지만 여전히 같은 오류가 뜬다. -> 실패
5. 라이센스 관련 문제일수도 있다는 내용이 있어서 라이센스 확인

- cmd에서 위 경로로 들어가 sdkmanager -licenses 명령을 실행한 뒤 나오는 라이센스 관련 질문에 모두 y로 답함. -> 다시 빌드해봤지만 실패
힘들었다...
(2021-09-05 내용 추가)
7. JDK 및 Gradle 관련 설정 변경
- 새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위해 새 노트북을 지급받은 후 다시 안드로이드 환경 설정을 시작했다. 이번에는 절대 수동으로 환경설정 하지 않으리라 다짐하며 SDK와 NDK를 설치했지만 새로운 오류가 발생했다. 로그를 다 지워버려서 화면을 캡처하지는 못했지만 기록으로라도 남긴다.
- CMake 버전을 찾을 수 없다는 오류
- Android Studio - Configure - SDK Manager - SDK Tools를 선택한 뒤 우측 하단 Show Package Details에 체크



- SDK, NDK, CMake의 버전을 위와 같이 설정한다.
- Gradle maximum heap size 관련 에러
- JDK 경로가 64bit JAVA 설치 폴더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Could not initialize class org.codehaus.groovy.vmplugin.v7.Java7 에러
- 두 가지를 시도해봤다.
- 우선 Gradle Wrapper에서 Gradle의 버전을 높였다.
- 다음으로 JDK를 삭제 후 8버전으로 다시 설치했다.
->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