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탐색 도구]
ls -l: ls(리스트) 명령어, l 플래그(long)
ls -lh: l 플래그, h플래그(human-readable)
ls -h
ls --human-readable
ls -R /etc: R플래그(Recursive)
pwd: present working directory
cd: change directory
cat /etc/fstab: 파일 내용 출력 (concatenate 연결하다)
less /etc/services: 파일 내용 표시 (파일 내용을 조금씩 보여줘서 텍스트 내용을 쉽게 읽을 수 있다)
PgUp, PgDn, Space Bar(= PgDn), 방향키 위아래(한 줄 단위)
Q(파일 읽기 Quit)
[리눅스 파일 관리 도구]
touch [파일명]
1) 해당 파일이 비존재하는 경우: 빈 파일을 생성
2) 해당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파일 내용은 그대로 두고, 타임스탬프만 갱신
gedit/nano/vi [파일명]: 편집기로 해당 파일을 열기
cp [파일명][디렉터리명]: 해당 파일의 사본을 해당 디렉터리에 만든다
cp [파일명1][파일명2]: '파일명1'의 사본을 만들어, '파일명2'라는 이름을 붙인다
파일 글로빙: 처리할 파일명에 *(와일드카드 문자)를 적용 (globbing 은 global 에서 파생)
mv * [디렉터리명]: 현재 디렉터리의 모든 내용을, 해당 디렉터리 위치로 이동
mv file* [디렉터리명]: '파일명'이 'file'로 시작하는 파일들을 옮기고, 나머지는 그대로 둔다.
mv file? [디렉터리명]: '파일명'이 'file_'인 파일들에만 명령을 적용 (?는 임의의 문자 하나에 대응)
[키보드 트릭]
Shift + Ctrl + C , Shift + Ctrl + V : 복, 붙
[의사 파일 시스템]
일반적인 파일은,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안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의 집합.
리눅스 의사 파일은,
시스템 부팅 중/후에 특정 상태를 보여주고자 OS에서 동적으로 생성하는 데이터를 담은 파일.
[맨 페이지]
man [명령어]: 해당 명령의 man page(구조화된 문서)를 보여준다.
man man (매뉴얼 시스템 자체도, 맨 페이지 파일이 있다)
키워드 검색: '/' + [검색 패턴] + Enter + [B키, N키]
NAME(명령 간략 소개),
SYNOPSIS(구문 구조),
DESCRIPTION(명령문 인자, 플래그 설명)
EXAMPLES(사용 예시)
등등
[Info] 유용함.
Menu 부문에서 밑줄은, 하위 메뉴로 이동(Enter)할 수 있는 링크.
U키: 한 단계 위(Up)로 올라감
Q키: Info 화면 종료(Quit)
[시스템 로그]
journalctl: 모든 시스템 로그에 접근
journalctl | grep [문자열]: journalctl의 출력 -> grep 필터로 연결 -> [문자열]을 담은 줄만 출력
journalctl | grep [문자열1] | grep error: 문자열 'error'가 포함된 줄만 출력
journalctl | grep [문자열1] | grep -v error: 문자열 'error'가 없는 줄만 출력
|(파이프 문자): 어떤 명령(ex. journalctl)의 출력을 다른 명령(grep)의 입력으로 연결.
grep 명령을 여러 번 적용 가능.
-v 플래그: in(v)ert 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