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수 있게 만들어 놓은 프로토콜(약속) 이다.
따라서 모든 프로그램들이 이 규칙에 맞게 정보를 교환 할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에서 HTTP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때 대표적으로 아래와같이 두편에서 데이터가 오고간다.
Client
)정보를 요청하는 쪽으로 요청에 응답받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만 관심이 있는 쪽이다.
Server
)요청받은 정보를 제공하는 쪽으로 요청시 데이터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한다.
주의점
💡 데이터 전송 포맷이 무조건 html만 있는것은 아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request
라 하고 요청의 종류를 메서드라는 이름으로 분리해서 부른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메서드 두가지인 Get
,Post
를 살펴보자
정보를 서버에게 요청할때 사용하는 메서드이다.
어떤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수정할때는 get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지향) 한다.
특징
- 요청정보를 담는곳은 request url 로 요청정보가 노출되기에 보안상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 url에는 길이 제한이 있기에 요청정보에 제한이 있다.
정보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때 사용하는 메서드이다.
보통 새로 생성할 데이터를 Post 요청으로 서버에게 넘긴다.
요청정보를 담는 body
가 존재하기 때문에 url에는 정보가 노출되지 않는다.
특징
- body 에 길이가 무제한 이기에 요정정보에 제한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