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의 기본

유정·2023년 8월 2일
0
post-thumbnail

네트워크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이번에 카테캠에서 카카오 쇼핑하기 클론 코딩을 하는데, API를 요청하고 데이터를 이용하는 부분에서 개발자 도구의 네트워크 탭을 상당히 많이 이용했었다 ㅎ.ㅎ
그래서 네트워크에 대해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어서 관련된 책을 보고,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


컴퓨터 네트워크 🖥️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 네트워크를 통해서 PC나 서버 등 간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네트워크는 정보 수집이나 커뮤니케이션 효율화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이용된다.

네트워크의 분류

네트워크 사용자에 따라서 사설 네트워크와 인터넷 네트워크로 분류할 수 있다.

  • 사설 네트워크 : 회사나 가정 내로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제한
  • 인터넷 :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하지 않는 네트워크
  • 인터넷에는 악의를 가진 크래커가 이용하는 PC도 접속할 수 있다.

📍 크래커 : 시스템에 부정침입하거나 데이터 도청이나 변조 등의 행위(크래킹)를 하는 악의를 가진 사용자

사내 네트워크(인트라넷) 구성

(사설 네트워크를 회사에서 사용하면 사내 네트워크가 된다. 결국 같은 말 😅)

  • 사내 네트워크는 LAN과 WAN으로 구성
  • LAN(Local Area Network) : 거점 내 네트워크
  • WAN(Wid Area Network) : LAN끼리 연결하기 위한 것
LANWAN
역할거점 내 기기끼리 서로 연결한다거점인 LAN끼리 서로 연결한다
구축 및 관리직접 구축하고 관리한다통신사업자가 구축하고 관리한다
초기 비용설계와 구축 인건비, 기기 비용서비스 계약 요금
관리 비용관리자 인건비통신요금

인터넷

인터넷의 구성

인터넷은 다양한 조직의 네트워크인 AS(Autonomous System)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 AS의 예 :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ISP)
  • Tier1 : ISP의 상위 그룹
    ➡️ 인터넷 상의 모든 ISP는 Tier1을 경유해서 연결되는 것
  • Google 이나 Amazon 등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네트워크도 AS

고정 회선과 모바일 회선의 종류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따라, 고정 회선이나 모바일 회선으로 ISP의 라우터와 접속해 인터넷을 이용한다.

고정 회선특징
전용선통신속도는 보장되지만 비용이 비싸다.
전화회선(ADSL)전화회선을 이용해 저가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광케이블(FTTH)광케이블을 이용해 고속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케이블 TV 회선케이블 TV 회선을 인터넷 접속에도 이용한다.

모바일 회선특징
휴대전화망(4G LTE)휴대전화망을 이용한 광역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WiMAX/WiMAX2 회선WiMAX망을 이용한 광역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무선 LAN(Wi-Fi)Wi-Fi 액세스 포인트의 제한된 범위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제는 5G를 쓴다..ㅎ)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의 주체는 주로 애플리케이션❗️

  • 애플리케이션을 통작시키는 컴퓨터는 클라이언트서버로 분류
    💬 클라이언트 : 일반 PC나 스마트폰 / 서버 : 비교적 고성능 컴퓨터
  • 애플리케이션간의 통신은 양방향으로 일어나므로, 뭔가 데이터를 보내면 응답이 돌아온다.
  • 클라이언트 서버 애플리케이션 : 서버와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
  • 피어투피어 애플리케이션 : 서버를 거치지 않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애플리케이션
    (예 : SNS의 메신저, 온라인 게임)
    🔴 단, 통신 상대를 특정하고자 서버가 개입하는 일도 있다.

네트워크 아키텍쳐

PC, 서버, 스마트폰 등의 정보 단말이 사용하는 언어
(즉, 대화에 사용하는 언어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프로토콜 : 통신에 필요한 규칙
  • 프로토콜의 집합이 바로 네트워크 아키텍처 (프로토콜 스택, 프로토콜 스위트 라고도 불린다.)
    🟠 예 : TCP/IP, OSI, Microsoft NETBEUI, Novell IPX/SPX, Apple Appletalk, IBM SNA
  • 위에 예처럼 몇 가지 종류가 있지만, 현재는 대부분 TCP/IP를 이용한다.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역할별로 4가지로 계층화된 복수의 프로토콜을 조합한다.

  • 애플리케이션층 : HTTP, SMTP, POP3, IMAP4, DHCP, DNS 등
  • 트랜스포트층 : TCP/UDP
  • 인터넷층 : IP, ICMP, ARP 등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 : 이더넷, 무선 LAN, PPP 등

클라우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제대로 동작하려면, 서버가 항상 가동되고 있어야 한다.

이에 서버를 직접 관리 운용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서버의 기능만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 바로 클라우드 서비스 이다❗️
(인터넷을 경유하지 않고, 사설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도 있다.)

🖥️ 직접 서버를 운용 관리하는 기존 서버 운영 방법은 온프레미스라고 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의 기능을 이용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업자가 서버를 도입하고 운용 및 관리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는 보안이나 가용성에 주의가 필요하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류

클라우드 서비스는 서버의 어느 부분까지 이용할 수 있게 하느냐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laaS 하드웨어 (= HaaS)
  • Pass 플랫폼
    (예 : 사내 업무 시스템)
  • SaaS 애플리케이션
    (예 : 온라인 스토리지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류서버의 어느 부분까지 제공하는가
l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CPU/메모리/스토리지와 같은 하드웨어 부분만
PaaS(Platform as a Service)하드웨어에 더해 OS/미들웨어의 플랫폼 부분까지
SaaS(Software as a Service)하드웨어 부분부터 애플리케이션 부분까지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공부해보았다.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이고, 클라우드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 이해할 수 있는 시간들이었다 🌻

profile
오늘은 모르더라도 내일은 아는 사람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8월 2일

좋은 글이네요.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