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이번에 카테캠에서 카카오 쇼핑하기 클론 코딩을 하는데, API를 요청하고 데이터를 이용하는 부분에서 개발자 도구의 네트워크 탭을 상당히 많이 이용했었다 ㅎ.ㅎ
그래서 네트워크에 대해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어서 관련된 책을 보고,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네트워크 사용자에 따라서 사설 네트워크와 인터넷 네트워크로 분류할 수 있다.
📍 크래커 : 시스템에 부정침입하거나 데이터 도청이나 변조 등의 행위(크래킹)를 하는 악의를 가진 사용자
(사설 네트워크를 회사에서 사용하면 사내 네트워크가 된다. 결국 같은 말 😅)
| LAN | WAN | |
|---|---|---|
| 역할 | 거점 내 기기끼리 서로 연결한다 | 거점인 LAN끼리 서로 연결한다 | 
| 구축 및 관리 | 직접 구축하고 관리한다 | 통신사업자가 구축하고 관리한다 | 
| 초기 비용 | 설계와 구축 인건비, 기기 비용 | 서비스 계약 요금 | 
| 관리 비용 | 관리자 인건비 | 통신요금 | 
인터넷은 다양한 조직의 네트워크인 AS(Autonomous System)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따라, 고정 회선이나 모바일 회선으로 ISP의 라우터와 접속해 인터넷을 이용한다.
| 고정 회선 | 특징 | 
|---|---|
| 전용선 | 통신속도는 보장되지만 비용이 비싸다. | 
| 전화회선(ADSL) | 전화회선을 이용해 저가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 
| 광케이블(FTTH) | 광케이블을 이용해 고속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 
| 케이블 TV 회선 | 케이블 TV 회선을 인터넷 접속에도 이용한다. | 
| 모바일 회선 | 특징 | 
|---|---|
| 휴대전화망(4G LTE) | 휴대전화망을 이용한 광역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 
| WiMAX/WiMAX2 회선 | WiMAX망을 이용한 광역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 
| 무선 LAN(Wi-Fi) | Wi-Fi 액세스 포인트의 제한된 범위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 
(이제는 5G를 쓴다..ㅎ)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의 주체는 주로 애플리케이션❗️
PC, 서버, 스마트폰 등의 정보 단말이 사용하는 언어
(즉, 대화에 사용하는 언어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역할별로 4가지로 계층화된 복수의 프로토콜을 조합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제대로 동작하려면, 서버가 항상 가동되고 있어야 한다.
이에 서버를 직접 관리 운용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서버의 기능만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 바로 클라우드 서비스 이다❗️
(인터넷을 경유하지 않고, 사설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도 있다.)
🖥️ 직접 서버를 운용 관리하는 기존 서버 운영 방법은 온프레미스라고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서버의 어느 부분까지 이용할 수 있게 하느냐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류 | 서버의 어느 부분까지 제공하는가 | 
|---|---|
| l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CPU/메모리/스토리지와 같은 하드웨어 부분만 | 
| PaaS(Platform as a Service) | 하드웨어에 더해 OS/미들웨어의 플랫폼 부분까지 | 
| SaaS(Software as a Service) | 하드웨어 부분부터 애플리케이션 부분까지 |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공부해보았다.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이고, 클라우드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 이해할 수 있는 시간들이었다 🌻
좋은 글이네요.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