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베이스는 그냥 데이터가 나열되어있다.
이것을 편하게 보여주기 위한 GUI를 사용하는데 위에 사진과 같은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위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확이해보면 이러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위에 박스안에 보이는것 같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SQL이 보이게 된다.
이를 본인이 원하는 local번호와 port번호를 입력해 사용할수 있게 된다.
하지만 여기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자바스크립트와 연결이 필요하다.vscode의 위와 같이 폴더를 만들고 데이터 베이스와 동기화 해줄 index를 만들어준다.
먼저 위와 같이 본인이 만든 폴더에 tyoeorm을 설치해준다.
그리고 pg를 설치해주는데 이는 postgres가 아닌 이를 도와주는 도우미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입력을 해야하는 부분은 타입스크립트 홈페이지에 가보면 확인할수 있다.
추가로 package.json에 설정에서 스크립트 부분을 확인해서 위의 모양이 아니면 따로 ts-node-dev를 추가 또는 설치를 해주고 설정을 해줘야 한다.
이제 동기화를 시켜주면 된다.
먼저 매인 파일에 위와 같이 설정을 해준다.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쪽 파일을 설정해주면 마무리다.
이제 터미널에 yarn dev를 실행시키게 되면 동기화가 끝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