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하자> HTML (7) BEM & 미디어(오디오, 영상, SVG)

.·2024년 7월 11일
0

출처 : 얄팍한 코딩사전

BEM(Block Element Modifier)

CSS, JS 사용을 위해 요소들을 구분하게 되는데 태그, 클래스 위주로 구분을 하게 되었을 때는 장황해질 수 있어 블록(컴포넌트) 단위로 명명하면 아래 특징들을 보일수 있다.
1. 간결해진 선택자 - 코드량 감소
2. 명확한 선택자 - 중복 문제 해소
3. 높은 가독성, 이해하기 쉬운 구조

BEM 명명 규칙
Block: .block
Element: .block__element
Modifier: .block--modifier 또는 .block__element--modifier

솔직히 잘 모르겠다 이 부분,,, 웹페이지 만들 때 다시 정리해야지..

SVG(Scalable Vector Graphic)

픽셀 단위가 아닌 vector 이미지로 깨지지 않는 해상도를 유지해야할 때 사용
.svg 파일을 img에 연결, 또는 svg 태그에 직접 작성 가능

SVG 관련 툴 ( 웹페이지 만들 때 사용해 보자)

shape dividers
haikei

오디오와 동영상

1. src 속성을 사용한 링크

속성설명비고
src미디어 파일 위치source 태그로 대체 가능
control제어 인터페이스필수로 들어가야 함(보통)
autoplay자동재생요즘 브라우저에서는 자동재생을 지양해서 디폴트로 막는경우가 있음
loop반복재생

2.source 태그를 사용한 링크

브라우저마다 호환할 수 있는 파일 형식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대안을 줄수 있는(여러개 소스파일) 태그 방식

audio 태그

<audio src="오디오 파일 경로" controls></audio>

audio 태그는 항상 src속성과 함께 사용하며, 오디오 컨트롤 패널이 웹 브라우저에 노출되도록 controls 속성을 설정해야한다.

video 태그

<video src="비디오 파일 경로" controls></video>

형식과 쓰임은 audio태그와 비슷하다. audio, video 태그는 웹 브라우저마다 지원 하는 파일 포맷과 미디어 타입이 다르니 참고하자.

source 태그


source 태그는 audio 태그와 video 태그에서 리소스(파일)의 경로와 미디어 타입을 명시하는데 사용한다. 필수는 아니지만 웹 브라우저별로 지원하는 포맷과 미디어 타입은 다르기에 해당 태그를 이용하여 모든 source 태그를 확인했는데, 전부 지원하지 않는 형식이라면 마지막에 작성한 텍스트가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웹접근성에 용이한 것이다.

profile
해야 되는 일이 하고 싶은 일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