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는 수학적인 상수와 함수를 위한 속성과 메서드를 가진 내장 객체이지 함수 객체가 아니다.
정적 프로터피와 메서드만 제공
Number 타입만 지원 - BigInt 사용 불가
Date 객체는 new키워드로 Date 객체의 날짜 데이터인 인스턴스를 생성해 변수에 할당한 뒤에 사용했지만, Math 객체는 new 키워드 없이 Math 객체에 바로 메서드를 사용한다.
ceil 올림, round 반올림, floor 내림, trunc 정수부만
pow - ~로 거듭제곱 ( ** 연산자로 더 간결히 표현 가능)
(두 숫자 인자 필수)
sqrt - 제곱근
(두 숫자 인자 필수)
0 ~ 9 사이의 정수 무작위로 만들기
안전한 (균일하고 예측불가한) 난수 생성은 아님에 유의하자.
보안에 관련된 것이라면 전용 라이브러리 또는 아래 링크의 방식을 쓸 것
Crypto.getRandomValues 메서드 MDN 문서
floor() 메서드를 추가해 난수의 범위를 늘릴수 있다. 예를 들어, 난수 범위를 0이상 20이하의 정수로 바꾸고 싶다면 0.999라는 숫자가 나왔을 대 여기에 20을 곱하면 19.98이되고 여기에 다시 floor() 메서드를 사용하면 19가 나온다.
탄젠트까지 들어본거 같은데,,,
Date
JavaScript Date 객체는 시간의 한 점을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 형태로 나타냅니다. Date 객체는 1970년 1월 1일 UTC(협정 세계시) 자정과의 시간 차이를 밀리초로 나타내는 정수 값을 담습니다. MDN 문서
+++ 08.10
출처: 코딩 자율학습
Date 객체를 사용하려면 먼저 Date 객체를 호출해 날짜와 시간 데이터를 생성해야한다.
날짜와 시간 정보를 숫자로 전달할 때 월은 0부터 시작해서 1월은 0, 12월은 11이다.
현재 날짜와 시간
new와 함께 사용하면 인스턴스 객체
없이 사용하면 문자열 반환 - new Date().toString()과 같음
밀리초 기준
1970년 1월 1일 자정(UTC, 그리니치 평균시)으로부터 인자로 주어진 밀리초만큼 경과한 시간
연, 월 ( 0부터 시작 ) 필수
일, 시, 분, 초, 밀리초 옵션 없을 시 0
특정 형식의 문자열 인식 가능
동작이 일관적이지 못함, 브라우저마다 차이 존재 - 권장하지 않음
현재의 밀리초 숫자값 (앞으로 UTC 1970/1/1 자정부터 경과값 의미) 반환
주어진 시간의 밀리초 숫자값 반환
parse는 dateString, UTC는 단위별 숫자를 받음
각각 전체, 날짜만, 시간만 나타내는 문자열 출력
시스템(컴퓨터)의 언어 설정별로 다르게 나타남
주어진 언어 코드를 기준으로 표현한 문자열 반환
인자가 없을 시 시스템의 언어 적용
de-DE 덴만크 시각을 의미함
Eg
시스템의 시간대와 UTC의 시간차를 분 단위로 반환
한국의 경우 9시간 차이
ISO 8061이란 형식의 문자열 반환
UTC 기준으로 반환
현재시각으로 맞추기
Date 객체의 인스터스에 get 메서드를 사용하면 날짜와 시간을 재구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