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 목적 >배열 또는 리스트에 빈 문자열('') 등 비어있는 값이 들어있는 경우 제거하거나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비어있는 값이란? >유효하지 않는 데이터. 즉, 결측 데이터를 의미한다. 결측데이터의 종류 'None' 'False' '0'(정수형 0) '0.0'(부동 소수점형 0) ''(빈 문자열) '[]'(빈 리스트) '{}'(빈 딕셔너리) '()'(빈 튜플) 'set()'(빈 집합) 'Oj'(복소수형 0) 위의 값들은 결측데이터로 판단이 가능하며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자. 체크해야하는 이유 비어있는 값. 즉, 결측데이터를 확인하고 측정해야하는 이유는 올바른 데이터가 입/출력 되는지 여부와 데이터의 수를 이용하여 반복문 등을 사용하는 경우 결측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물론 결측 데이터가 의도적으로 필요한 경우들도 있지만 그런
Collection 프레임워크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구조화하여 클래스로 구현해놓은 것 다시 말해 collection 프레임워크란 다수의 데이터를 쉽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는 클래스의 집합이다. ⚡️ collection 프레임워크의 주요 인터페이스 List : 순서가 있는 객체의 저장 공간,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 Set : 순서가 없는 객체의 저장 공간, 데이터의 중복을 불허 Map : key-value로 데이터를 핸들링하며, key는 중복을 불허하고 value는 중복을 허용 ⚡️ collection 프레임워크의 구성 여기서 Map은 구조상의 차이로 인해 collection과 별개의 인터페이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