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하면서 문득 든 생각은 프로젝트를 완료했는데 배포를 못하면 어떻게 하지? 라는 생각이 들었고, 테스트 차원에서 현재까지 작성된 프로젝트를 빌드하여 배포하기 위해 AWS EC2에 도전해봤다. 차근차근 알아가보자.
React + Spring으로 소셜로그인을 구현하면서 발생했던 오류들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자세한 개념들은 더 공부해보고 알려드리겠습니다.
React + Spring 프로젝트를 이용한 소셜로그인 구현하기 입니다. 처음 도전하시는 분들도 한번 참고해서 작성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JWT를 이용하여 로그인 단계에서 토큰을 발급하는 실습을 진행해보자. spring legacy 프로젝트에서 구성한 예제이다.
선택한 지역의 단기예보를 가져오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기상청 단기예보 API를 사용해보았다. 사용하는 방법보다는 사용 후 느낀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이야기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리눅스 기반의 CentOS7를 mac apple chip에서 설치하여 사용해보자. docker를 기반으로 가상 컨테이너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하나의 자료형이 다양한 형태의 자료형으로 동작할 수 있거나 메소드의 매개변수로 전달되어 사용되어지는 개념이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다형성과 오버로딩 및 오버라이딩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Rest API 규칙 준수를 위해 Http 메소드 사용 시 PUT, DELETE 메소드 인식 오류에 대한 필터 설정을 해보자. HiddenHttpMethodFilter 객체에 대한 설정에 대하여 알아보자.
main메소드의 오버라이드 및 오버로딩이 가능한가? 이 궁금증에서 시작되어 이것저것 찾아본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자.
상태와 동작을 보유할 수 있는 추상클래스와 추상메소드와 상수만을 보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특정 시점에 기능이 구현되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추상 클래스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추상 클래스는 하나 이상의 추상 메소드를 보유한 클래스로 일반 클래스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
클래스를 작성할 때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는 일종의 추상 클래스를 의미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알아보자.
요청을 본격적으로 처리하기 이전에 요청에 대한 초기 설정 및 부가적인 기능을 사전 수행해주는 객체인 필터에 대하여 알아보자.
비동기 방식으로 formdata에 복수의 데이터를 담아 전송하였으나 Spring controller에서 파라미터값이 null이 발생하였다. 어떤 것이 원인이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알아보자.(멍청주의)
동일한 메서드명을 사용하기 위한 메서드 정의 기법들인 오버라이딩과 오버로딩의 예외 처리 시 어떠한 제한사항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로직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통적 또는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하는 흩어진 관심사를 지정하여 물리적인 코드 배치를 제거하고 능동적인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인 AOP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번 게시글은 스프링의 핵심 개념 중 한가지인 의존성 주입에 대하여 설명한다. 의존성이 높은 경우 객체 간의 결합도가 증가하여 특정 객체에 변경이 생기면 주변에 주는 영향이 커진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존성을 낮추는 방법을 알아보자.
프로그램의 성격이 바뀌거나 비즈니스 로직이 수정되어야 할 경우 최소한의 코드 수정 효과를 달성하거나 트랜잭션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세션을 보유하고 트랜잭션을 확정짓는 역할을 하는 Service에 대해서 알아보자.
Front Controller 패턴의 다른 형식을 알아보자. class(클래스)기반의 매핑이 아닌 xml 및 json 등 파일 기반의 매핑을 통해 dispatcherSerlvet이 동작하는 원리에 대하여 단계별로 파헤쳐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