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깅 목적 >📖 Nexacro 플랫폼 사용 시 자주 이용 할 수 있는 편의기능에 대하여 정리해보자. 편의기능 목록 >📖 모든 편의기능을 다루기에는 내용이 방대하기 때문에 처음 넥사크로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부분들만 추출하여 작성해보겠다. ⚡️ 서비스 설정 이전 게시글에서 알아본 서비스는 소스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공간이며, Resource Service(디자이너)와 User Service(개발자)로 구분된다고 배웠다. 그렇다면 서비스를 어떻게 설정 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 생성 위의 서비스 메뉴를 더블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ung6860/post/3e29ffd8-49bf-
블로깅 목적 >넥사크로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역할 및 사용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알아보자. 프로젝트 구성 요소 ⚡️ Environment >📖 실행 환경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설정 파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Screen 기본적으로 1개의 스크린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일하게 실행하고 싶을 경우 추가하여 사용 할 수 있다. 🖥️ Variables 애플리케이션과 화면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변수를 지정 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된 변수는 브라우저의 LocalStorage에 위치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ung6860/post/29322810-fae9-4735-90a
지난 게시글에 이어서 eGovFrame web project + nexacro17 연동하기를 이어서 해보겠다. 혹시라도 지난 게시글을 보지 못했다면 여기를 클릭해서 보고오도록 하자. eGovFrame web project + Nexacro17 연동 ⚡️ Filter + Servlet 설정 지난 게시글과 동일하게 소제목은 패키지명 + 파일명이다. 🖥️ src/main/webapp/WEB-INF/web.xml
Nexacro란? >투비소프트가 개발한 비즈니스 UI/UX 플랫폼으로 기업들의 다양한 개발 요구사항을 수용 할 수 있는 Unified JavaScript FrameWork 기반의 솔루션 넥사크로는 쉽게 설명해서 JS기반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워크 기반의 솔루션이다. Multi OS, Multi Browser를 지원하며 디바이스별 화면에 최적화된 다양한 기능 제공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업무 시스템을 구현 할 수 있다. 구조 및 흐름 넥사크로는 .xfdl 파일을 .js로 변환하여 자체 프레임워크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브라우저 및 런타임 환경을 구분하여 해당하는 기능들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개념이다. 그렇다면 개발단계부터 배포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흘러가는지 개념에 대해서 아래 그림을 참고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