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it 명령어
git init //.git 하위 디렉토리 생성
git clone [원격 서버 주소] //기존 소스 코드 다운로드 및 복제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네임] //유저네임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주소] //이메일 설정
git config --list //설정 정보 확인
git add [파일명] //커밋에 단일 파일의 변경 사항을 포함
git add . //현재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 내에서 변경된 파일과 새로 추가된 파일을 스테이징
git add -A //작업 디렉토리 전체의 모든 변경 사항(변경된 파일, 새로 추가된 파일, 삭제된 파일)을 스테이징
git commit -m [커밋 메세지] //커밋 생성
git commit -am [커밋 메세지] //add 후 커밋 생성
git commit --amend //마지막 커밋 메세지 수정
git status //파일 상태 확인
git branch //브랜치 목록
git branch [브랜치 이름] //새 브랜치 생성
git branch -d [브랜치 이름] //브랜치 삭제
git checkout -b [브랜치 이름] // 브랜치 생성 & 이동
git checkout master //master branch로 이동
git push -u remote [브랜치 이름] //새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로 push
git push origin [브랜치 이름] //만든 브랜치를 원격 서버에 전송
git push --set-upstream origin [브랜치 이름] //새로운 브랜치로 처음 푸시할 때 사용
git remote add origin [원격 서버 주소] //git에게 새로운 원격 서버 주소 알림 (클라우드 주소 등록)
git remote remove [클라우드 주소] //클라우드 주소 삭제
git checkout --[파일명] //로컬의 변경 사항을 변경 전으로 되돌림
git checkout [브랜치 이름] //해당 브랜치로 변경
git checkout -b [브랜치 이름] //해당 브랜치을 생성하고 변경
git log //현재 위치한 브랜치 커밋 내용 확인
git log -p //현재부터 과거까지 버전 상세 출력
git log [commit ID] //해당 커밋 아이디 기준 이전 커밋들만 출력
git log --reverse //오래된것부터 출력
git log --branches //브랜치 상세 출력
git log [브랜치 이름]..[브랜치 이름] //두 개의 브랜치 차이 출력
git log --branches --decorate --graph --oneline
git stash //현재 작업중인 변경 사항을 임시 저장
git stash apply //가장 최근 stash 가져와 적용
git stash list //stash 목록 출력
git stash drop //가장 최근 stash 목록 삭제
git stash pop //apply와 drop을 합친 키워드
git reset [커밋 주소] --hard //해당 커밋 주소로 리셋
git reset ORIG_HEAD //최근 커밋으로 리셋
git tag [버전] [커밋 ID or 브랜치 이름] //tag 설정
git tag -d [버전] //tag 삭제
git pull //원격 저장소의 변경 내용이 현재 디렉토리에 가져와가지고(fetch) 병합(merge)됨
git merge [다른 브랜치 이름] //현재 브랜치에 다른 브랜치의 수정사항 병합
git diff [브랜치 이름][다른 브랜치 이름] //변경 내용 merge 전에 바뀐 내용을 비교할 수 있음
git merge [브랜치 이름] //브랜치 병합
git reflog //커밋 기록 확인
git fetch origin //원격에 저장된 git 프로젝트의 현 상태를 다운로드
git rebase [브랜치 이름]
- untracked files : add 전
- changes to be commited : add 후
- working directory : 작업 진행하는 곳
- index : git.add 후 저장되는 장소
- repository : commit된 버전
2. CLI 명령어
sudo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ls //파일 보기
al //파일의 세부내용 확인
cd //디렉토리 이동
pwd //path 확인
cd ~ //현재 사용자 개인 파일 디렉토리
cd / //루트 디렉토리 (시스템 최상위 디렉토리 확인)
cd . //현재 디렉토리
cd .. //부모 디렉토리
pwd //디렉토리 확인
clear //터미널의 입력 내용들을 지워줌
touch [file 이름] //빈 파일 생성
mkdir [디렉토리 이름] //디렉토리 생성
cat [파일 이름] //텍스트 형태의 파일 확인
cat < [파일 이름] //파일 받아오기
cat > [파일 이름] //파일 덮어쓰기
cat >> [파일 이름] //파일 쓰기
mv [파일 이름 or 디렉토리 이름][다른 파일 이름] //파일 및 디렉토리 이름 바꾸기
cp [파일 이름][파일 이름] //복사
rm [파일 이름] //파일 삭제
rm -r [디렉토리 이름] //폴더 삭제
chown [소유자 이름][파일 이름] //파일 소유권 변경
mkdir //디렉토리 생성
rm //삭제
vim [파일 이름] //에디터 사용하여 파일 생성
-> i (insert) 입력 -> esc 빠져나감
-> :wq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