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기초 | 비교 연산자

uoah·2023년 1월 6일
0

자바스크립트

목록 보기
6/33
post-thumbnail

🚀 오늘의 학습 목표

  • 비교 연산자 이해

6. 비교 연산자

< > <= >= == !=

a = 3

여기에서 = 는 할당을 의미한다.
a 에 3 을 넣어 준다는 뜻이다.

  • "a 와 3 이 같은가" 를 비교하고 싶다면 a == 3 으로 써야 한다.
  • "a 와 3 이 다른가" 를 비교하고 싶다면 a != 3 으로 써야 한다.
console.log(10>5);	// true
console.log(10==5);	// false 
console.log(10!=5);	// true

값은 true, false (boolean) 으로 나온다.
위에서 보여진 10 == 5 에서 == 동등연산자 라고 한다.
동등연산자는 이상하게 동작할 때가 있다.

아래 예제를 보자.

const a = 1;
const b = '1';

console.log(a == b); // true

숫자열 1과 문자열 '1' 을 비교하게 되면 true 가 나온다.
타입까지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 을 쓰면 된다.

const a = 1;
const b = '1';

console.log(a === b); // false

숫자 1 과 문자 1이 같다고 평가할 경우 어떠한 버그를 만들어 낼지 모르기 때문에 타입까지 비교하는 === 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알게 된 boolean 값으로는 무엇을 할까?
이 부분은 다음 조건문에서 알아 보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