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a = 3
여기에서 = 는 할당을 의미한다.
a 에 3 을 넣어 준다는 뜻이다.
==
3 으로 써야 한다.!=
3 으로 써야 한다.console.log(10>5); // true
console.log(10==5); // false
console.log(10!=5); // true
값은 true, false (boolean) 으로 나온다.
위에서 보여진 10 ==
5 에서 ==
을 동등연산자 라고 한다.
동등연산자는 이상하게 동작할 때가 있다.
아래 예제를 보자.
const a = 1;
const b = '1';
console.log(a == b); // true
숫자열 1과 문자열 '1' 을 비교하게 되면 true 가 나온다.
타입까지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
을 쓰면 된다.
const a = 1;
const b = '1';
console.log(a === b); // false
숫자 1 과 문자 1이 같다고 평가할 경우 어떠한 버그를 만들어 낼지 모르기 때문에 타입까지 비교하는 ===
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알게 된 boolean 값으로는 무엇을 할까?
이 부분은 다음 조건문에서 알아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