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프링 왜 만들었는가? / 핵심은?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워크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keyword: 유연
변경이 용이
- 객체 지향의 핵심 →
다형성
- 다형성은 실세계에 비유된다.
- 역할과 구현으로 구분해보자
- 운전자 (클라이언트)는 자동차의 내부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몰라도 된다. (⇒ 자동차가 바뀌어도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새로운 자동차가 나와도 클라이언트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확장 가능한 설계)
- 따라서,
역할
과 구현
을 구분하는 장점은 줄리엣과 로미오 역할을 누가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배우는 계속 바뀌어도 되는, 그리고 줄리엣이 바뀌어도 로미오 역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 단순, 유연, 변경 편리
- 클라이언트는 대상의 역할(인터페이스)만 알면 된다.
-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
- 구현 대상의 내부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 X
- 구현 대상 자체를 변경해도 영향 X
- 자바 언어에서도 해당 개념을 차용했다.
- 역할 = 인터페이스
- 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구현 객체
- 구현보다 역할이 먼저다 = 구현보다 역할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객체 설계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를 만들어라
- 자바 언어의 다형성 → 오버라이딩
- 실행 시점에 객체를 유연하게 변경 가능
💡 다형성의 본질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터스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 가능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oryRepository();
- 한계
- 역할(인터페이스) 자체가 변하면, 클라이언트, 서버 모두에 큰 변경이 발생한다.
- 따라서,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스프링과 객체 지향
- 객체 지향 중 다형성이 가장 중요하다.
- 스프링은 다형성을 극대화해서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 How? 제어의 역전(IoC), 의존관계 주입(DI)은 다형성을 활용해서 역할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돕는다. ex. 레고 블록 조립하듯, 공연에서 배우 선택하듯이
정리
역할과 구현을 분리하는 것의
장점 → 다형성을 통해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 확장 가능한 설계,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변경이 가능하다
한계 → 인터페이스가 변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에 큰 변경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