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오를 자주 듣는 네오는 라디오에서 방금 나왔던 음악이 무슨 음악인지 궁금해질 때가 많다. 그럴 때 네오는 다음 포털의 '방금그곡' 서비스를 이용하곤 한다. 방금그곡에서는 TV, 라디오 등에서 나온 음악에 관해 제목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네오는 자신이 기억한 멜로디를 가지고 방금그곡을 이용해 음악을 찾는다. 그런데 라디오 방송에서는 한 음악을 반복해서 재생할 때도 있어서 네오가 기억하고 있는 멜로디는 음악 끝부분과 처음 부분이 이어서 재생된 멜로디일 수도 있다. 반대로, 한 음악을 중간에 끊을 경우 원본 음악에는 네오가 기억한 멜로디가 들어있다 해도 그 곡이 네오가 들은 곡이 아닐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네오는 기억한 멜로디를 재생 시간과 제공된 악보를 직접 보면서 비교하려고 한다.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할 때 네오가 찾으려는 음악의 제목을 구하여라.
입력으로 네오가 기억한 멜로디를 담은 문자열 m과 방송된 곡의 정보를 담고 있는 배열 musicinfos가 주어진다.
조건과 일치하는 음악 제목을 출력한다.
m | musicinfos | answer |
---|---|---|
"ABCDEFG" | ["12:00,12:14,HELLO,CDEFGAB", "13:00,13:05,WORLD,ABCDEF"] | "HELLO" |
"CC#BCC#BCC#BCC#B" | ["03:00,03:30,FOO,CC#B", "04:00,04:08,BAR,CC#BCC#BCC#B"] | "FOO" |
"ABC" | ["12:00,12:14,HELLO,C#DEFGAB", "13:00,13:05,WORLD,ABCDEF"] | "WORLD" |
function solution(m, musicinfos) {
var answer = '';
let mod = null;
musicinfos = musicinfos.map(x =>{
x = x.split(',')
x[0] = x[0].split(':');
x[1] = x[1].split(':');
x[0] = (x[1][0] - x[0][0]) * 60 + (x[1][1] - x[0][1])*1;
x[1] = x[3].split('').filter(x => x=='#').length;
answer = x[3].repeat(parseInt(x[0]/(x[3].length - x[1])))
mod = x[0]%(x[3].length - x[1])
for(let i=0;i<mod;i++){
answer += x[3][i];
if(x[3][i] == '#'){
mod++;
}
}
return [x[0], x[2], answer]
})
musicinfos = musicinfos.filter(x => x[2].includes(m))
return musicinfos.sort((a,b) => b[0] - a[0])[0][1];
}
musicinfos의 각 원소에 대해 ","로 분할한 후 재생시간을 구했다. 그러고 재생시간이 끝나면 #의 개수를 구해줬고 그거를 고려해서 코드의 반복횟수를 구해서 그만큼 반복시켜줬다. 시간이 나눠떨어지지 않을 경우 앞에서부터 코드를 붙여줬다. 그래서 마지막에 filter로 m에 있는 코드를 포함하는지 확인했고 재생시간으로 정렬해서 제일 처음 것 뽑았는데 테스트 케이스에서 실패했다.
마지막 테스트3에서 "ABC#"을 "ABC"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해서 틀렸다.
function solution(m, musicinfos) {
// C# H, D# I, F# J, G# K, A# L
var answer = '';
let mod = null;
m=m.replaceAll('C#', 'H').replaceAll('D#', 'I').replaceAll('F#', 'J')
.replaceAll('G#', 'K').replaceAll('A#', 'L')
musicinfos = musicinfos.map(x =>{
x = x.split(',')
x[0] = x[0].split(':');
x[1] = x[1].split(':');
x[0] = (x[1][0] - x[0][0]) * 60 + (x[1][1] - x[0][1])*1;
x[3] = x[3].replaceAll('C#', 'H').replaceAll('D#', 'I').replaceAll('F#', 'J')
.replaceAll('G#', 'K').replaceAll('A#', 'L')
answer = x[3].repeat(parseInt(x[0]/x[3].length))
mod = x[0]%x[3].length
answer += x[3].slice(0, mod)
return [x[0], x[2], answer]
})
musicinfos = musicinfos.filter(x => x[2].includes(m))
return musicinfos.sort((a,b) => b[0] - a[0])[0][1];
}
그냥 #이 붙은 코드에 대해 다른 문자로 변환시켜서 돌렸다. #때문에 발생한 추가 과정은 삭제해줬다.
그런데 일부 테스트에서 런타임 에러가 났다.
질문하기를 참고하니까 문제의 마지막 조건에 "조건이 일치하는 음악이 없을 때에는 "(None)"를 반환한다."고 되어있었는데 그거 반영해주는 것을 잊었다.
function solution(m, musicinfos) {
// C# H, D# I, F# J, G# K, A# L
var answer = '';
let mod = null;
m=m.replaceAll('C#', 'H').replaceAll('D#', 'I').replaceAll('F#', 'J')
.replaceAll('G#', 'K').replaceAll('A#', 'L')
musicinfos = musicinfos.map(x =>{
x = x.split(',')
x[0] = x[0].split(':');
x[1] = x[1].split(':');
x[0] = (x[1][0] - x[0][0]) * 60 + (x[1][1] - x[0][1])*1;
x[3] = x[3].replaceAll('C#', 'H').replaceAll('D#', 'I').replaceAll('F#', 'J')
.replaceAll('G#', 'K').replaceAll('A#', 'L')
answer = x[3].repeat(parseInt(x[0]/x[3].length))
mod = x[0]%x[3].length
answer += x[3].slice(0, mod)
return [x[0], x[2], answer]
})
musicinfos = musicinfos.filter(x => x[2].includes(m))
return musicinfos.length?musicinfos.sort((a,b) => b[0] - a[0])[0][1]:'(None)'
}
마지막에 musicinfos의 길이를 통해 조건에 맞는 음악이 없는 경우를 걸러내는 조건을 추가하니까 해결됐다.
const solution = (m, musicInfos) => {
let answer = '';
musicInfos = musicInfos.map(e => {
let eArr = e.split(',');
let timeDiff = (new Date(`1970-01-01 ${eArr[1]}:00`)
- new Date(`1970-01-01 ${eArr[0]}:00`)) / 60000;
let melody = eArr[3].replace(/[A-Z]#/g,m => m[0].toLowerCase());
melody = melody.repeat(Math.ceil(timeDiff / melody.length)).substr(0, timeDiff);
return `${timeDiff},${eArr[2]},${melody}`;
});
musicInfos.sort((a,b) => b.split(',')[0] - a.split(',')[0]);
answer = musicInfos.filter(e => e.split(',')[2]
.indexOf(m.replace(/[A-Z]#/g,m => m[0].toLowerCase())) != -1);
return answer.length == 0 ? '(None)' : answer[0].split(',')[1];
}
replace에 함수를 써서 해결해서 신기했다.
replace의 두 번째 인자에 함수를 넣으면 파라미터로 replace 첫번째 인자의 조건을 만족하는 문자열이 들어가고 함수에서 처리를 한 다음 반환하는 방식이었다. 새로운 것을 알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