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 Image is Worth 16x16 Words: Transformers for Image Recognition at Scale
❗️개념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 글로, 내용상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논문에서는 순서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 Introduction
- Related Work
- Method
- Vision Transformer (ViT)
- Fine-Tuning and Higher Resolution
- Experiments
- SetUp
- Comparison to State Of The Art
- Pre-training data requirments
- Scaling Study
- Inspecting Vision Transformer
- Self-Supervision
- Conclusion
Meta-Transformer 논문을 읽던 중 backbone으로 ViT가 사용된다는 것을 알았고,
ViT가 기존 Transformer와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를 파악하고자 Method 위주로 논문을 읽었다.
이 글에서도 Method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정리할 것이다.
기존 Transformer는 자연어 기반의 모델로,
자연어 문장이 입력으로 들어오면 임베딩을 통해 하나의 시퀀스로 입력 형태를 바꿔주고, 시퀀스 내 각 토큰 간의 attention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하였다.
ViT는 Transformer 중 Encoder 부분만 사용한 모델로, Image Recognition을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Transformer의 Encoder는 하나의 시퀀스를 입력으로 넣어줘야 하기 때문에 2차원의 이미지를 적절하게 변환해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순서는 아래와 같다.
(H, W, C) 차원의 이미지를 P x P 크기의 패치로 잘라준다.
이때 패치의 크기인 P는 이미지가 표현할 수 있는 픽셀 수와 같다.
(H, W, C) 이미지를 N개의 (P, P, C) 패치로 자르는 이유
: 전체 (H, W, C) 이미지에서 각 픽셀을 입력으로 사용하면 attention score 구할 때 계산량이 너무 많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2차원 상에 존재하는 각 패치들을 1차원으로 Flatten 시킨다.
= 패치들을 한 줄로 나열한다.
= (P, P, C) → ( x C, 1)
내가 참고한 코드에서는 1번과 2번 과정을 하나로 합쳐 (H, W, C)를 바로 ( x C, 1)로 reshape
하였다.
가장 첫번째로 오는 패치의 앞에 [CLS] 토큰을 붙여준다.
Transformer Encoder를 거쳐 나오는 이 토큰의 context vector는 모든 패치들끼리의 전반적인 관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토큰의 context vector를 최종 MLP Head의 입력으로 사용할 것이다.
Dense layer를 거쳐 각 패치들을 D차원으로 임베딩시킨다.
이때 D는 Transformer에서 지정된 입력의 크기를 의미한다.
Dense layer를 거치면서 (N(이미지 패치들)+1([CLS] 토큰))개의 content vector들이 각각 D개의 픽셀 수를 갖는 벡터로 linear projection 된다.
content vector에 위치 정보를 추가해준다.
앞서 이미지 패치들을 1차원으로 Flatten하는 과정에서 각 패치들의 순서 정보가 사라졌는데, 이 정보를 다시 포함시키기 위해 positional encoding vector를 4에서 구한 content vector에 element-wise하게 더해준다.
기존 Transformer는 positional encoding vector를 구하기 위해 sin함수를 사용하였다.
하나의 책, 엄청 긴 문장이 입력으로 들어올 수 있다는 점에서
같은 단어가 입력되더라도 문장에 따라 각 토큰의 위치가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sin, cos 함수를 이용한 것이다.반면 이미지는 (고해상도의 경우 일렬로 나열했을 때 시퀀스가 길어질 수는 있지만) 자연어에 비해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다. 따라서 one-hot encoding 방식으로도 큰 무리 없이 위치 정보를 나타낼 수 있었다.
ex) 이미지가 3 X 3개의 패치로 쪼개진 경우,
와 같이 각 패치별로 위치 번호를 지정하고 이 숫자를 one-hot encoding 해준다.
이렇게 임베딩된 이미지는 최종적으로 (N + 1) X D 형태로 Transformer의 Encoder에 입력되고 context vector를 얻게 된다.
이렇게 구한 [CLS]의 context vector를 MLP HEAD에 넣으면 각 라벨의 확률 분포를 구할 수 있어 가장 확률이 높은 라벨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다.
또 논문에서 이미지에 CNN을 먼저 수행해 feature map을 얻고 이를 Transformer Encoder에 넣는 Hybrid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졸업 프로젝트로 했던 CNN 기반 Transformer가 유사한 형태라 흥미로웠다.
📍 Transformers Everywhere - Patch Encoding Technique for Vision Transformers(ViT) Explained
📍 Vision Transformer (ViT) PyTorch 구현 코드 리뷰 - 1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