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v.1 달리기 경주

서준·2023년 6월 11일
0

프로그래머스 Lv.1

목록 보기
1/35

1. 문제

얀에서는 매년 달리기 경주가 열립니다. 해설진들은 선수들이 자기 바로 앞의 선수를 추월할 때 추월한 선수의 이름을 부릅니다. 예를 들어 1등부터 3등까지 "mumu", "soe", "poe" 선수들이 순서대로 달리고 있을 때, 해설진이 "soe"선수를 불렀다면 2등인 "soe" 선수가 1등인 "mumu" 선수를 추월했다는 것입니다. 즉 "soe" 선수가 1등, "mumu" 선수가 2등으로 바뀝니다.

선수들의 이름이 1등부터 현재 등수 순서대로 담긴 문자열 배열 players와 해설진이 부른 이름을 담은 문자열 배열 calling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경주가 끝났을 때 선수들의 이름을 1등부터 등수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5 ≤ players의 길이 ≤ 50,000
    players[i]는 i번째 선수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players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players에는 중복된 값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3 ≤ players[i]의 길이 ≤ 10
    2 ≤ callings의 길이 ≤ 1,000,000
    callings는 players의 원소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경주 진행중 1등인 선수의 이름은 불리지 않습니다.

2. 풀이

1차 시도 (실패)

def solution(players, callings):
    tmp = ''
    idx = 0
    for i in range(0, len(callings)):
        # players 배열에서 callings의 각 요소를 찾아서 인덱스 저장
        idx = players.index(callings[i])
        # 찾은 인덱스로 players 위치 바꾸기
        tmp = players[idx]
        players[idx] = players[idx-1]
        players[idx-1] = tmp
    
    return players
  • 이유는 시간초과다. 시간을 줄일 방법을 찾아봐야겠다. for문은 1개인데 반복문의 문제가 아니라 search과정에서의 문제같다. 해시 이용해서 한번 해보자.

2차 시도(성공)

  • 딕셔너리로 접근하는 중이다.
  • 딕셔너리도 key로 value를 서칭하는건 속도가 잘 나오는데 value로 key를 서칭하는건 속도가 느려진다고 한다.
  • callings에 있는 이름을 찾아서 인덱스를 바꾸면 결국 value값을 수정해야 하는건데, 이부분도 key로 할 수 있을지 고민해본다.
  • 딕셔너리를 두개 만들고 하는 방법도 가능하려나. 시도해본다.
def solution(players, callings):
    answer = []
    tmp = ''
    idx = 0
    num2play = {player: i for player, i in enumerate(players, 1)}
    play2num = {i: player for player, i in enumerate(players, 1)}
    for i in callings:
        # 호명된 플레이어의 현재 순위를 idx에 저장
        idx = play2num[i] 
        # 호명된 플레이어 기준으로 순위 변경
        tmp = num2play[idx-1] 
        num2play[idx-1] = num2play[idx] 
        num2play[idx] = tmp
        # player to num 도 업데이트
        play2num[i] -= 1
        play2num[tmp] += 1
    
    answer = list(num2play.values())     
    return answer
  • 딕셔너리를 한줄로 선언하는 부분에서 헷갈리는 부분이 많아서 시간이 오래걸렸다. searching에서 시간초과 되면 딕셔너리로 방향을 트는 습관이 필요할 것 같다.

3. Lv.up

  1. 리스트 길이 구하는 법
    len(list)
  2. 리스트에서 원하는 원소의 index 리턴
    list.index('사과')
  3. 리스트를 딕셔너리로 바꾸는 방법
list = ['A','B','C']
dictionary = {i : string for i, string in enumerate(list)}
  • i : string 은 각각 key와 value를 설정해주는 것이고, enumerate()는 번호를 붙여주는 함수이다. 따라서 위와같이 실행하게되면 딕셔너리에 {0:'A', 1:'B', 2:'C'} 이런식으로 저장이된다.
  • enumerate()를 하게되면 i에 index, string에 list값이 들어간다.
  • Key로 value를 찾는 것은 효율적이나, value로 key를 찾는것은 비효율적이다.
  1. 딕셔너리에서 key로 value찾는 방법
    dictionary[0]
  2. 딕셔너리 value값 수정 하는 방법
    dictionary[0] = 'C'
  3. 딕셔너리를 list로 변환
    list(dictionary)

4. Ref.

def solution(players, callings):
    pla_dic = {key: i for i, key in enumerate(players)}

    for p in callings:
        c = pla_dic[p]
        pla_dic[p] -= 1
        pla_dic[players[c-1]] += 1
        players[c-1], players[c] = players[c], players[c-1]

    return players
  • 딕셔너리를 2개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있는 players 배열을 사용했다.
  •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변수교환 코드이다. 파이썬... 앞으로 애용해야겠다. temp등의 변수들을 안써도 되는 놀라운 방식이다.
profile
어린이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