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st { count } = require("console");
const fs = require("fs");
const { nextTick } = require("process");
const filePath = 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예제.txt";
let input = fs.readFileSync(filePath).toString().trim();
// const fs = require('fs');
//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
input = input.split('\n')
const N=+input[0]
let array=input[1].slice().split(' ').map((el)=>+el).sort((a,b)=>a-b)
let answer=1;
for(let i=0;i<array.length;i++){
if (answer<array[i]){
break;
}
answer+=array[i];
}
https://kimbangg.tistory.com/189
1~n-1번째 추의 합 <n번째 추의 무게일 때가 답인 건 알았는데 어떻게 정리를 해서 구현해야 하는지는 몰랐다.
아니 말을 정리해서 쓰고 나니까 이걸 왜 못 풀었나 싶긴 하다.
n은 항상 큰 수라 생각해서 n에 이르기까지 고려해야 할 케이스가 굉장히 많을 것이라는 이상한 불안감이 들어서인듯하다. 답지에서 본 1,3,9의 간단한 예제를 보니 이해하기 쉬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