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소창에 주소를 입력하면? 각 컴퓨터는 IP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서버에 요청을 보내려면 해당 서버의 IP주소를 알아야 하는데 IP주소는 192.168.0.1 과 같은 숫자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외우기 쉽지 않죠 그래서 https://velog:io/@something 과 같은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사용합니다. 웹 브라우저는 주소창에 입력된 웹 사이트 주소(URL)를 이해하고 해당 주소와 연결된 IP 주소를 찾아야 합니다. 이 과정을 "DNS (Domain Name System)" 조회라고 합니다. 대략적인 순서는 이렇습니다 > 1. DNS는 웹 사이트 주소 (예: www.example.com)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 (예: 192.168.1.1)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변환 작업을 통해 컴퓨터는 웹 서버에 연결할 수 있게 됩니다. 브라우저는 호스트명을 로컬 DNS 캐시(최근에 방문한 웹 사이트의 주소와 IP 주소를 저장
DOM(Document Object Model)이란? > 1. 웹페이지의 HTML을 계층화 시켜 트리구조로 만든 객체모델 JS는 이 모델로 웹페이지에 접근하고, 페이지 수정 가능 DOM은 웹페이지 (HTML)과 Script언어(Javascript) 를 서로 잇는 역할 그래서 JavaScript는 어떻게 HTML에 접근할 수 있다는 말일까요? 바로 document라는 전역객체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