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이들은 연산자(operator) 로 자바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연산자가 있다
변수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
제일 먼저 변수를 선언한다
int x; //변수타입(int : integar(정수)) 변수명 : x;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명의 저장공간이 생기고 그 저장공간에 값을 저장한다
x = 5; //변수 x에 5를 저장한다
자바에서는 " = " 는 대입 연산자로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저장하라는 것이다
x = 3; //5가 저장되어 있는 변수 x에 3을 저장하면 x는 3으로 바뀐다.
변수 선업과 대입을 한줄로도 할 수도 있다
int x = 5;
변수 타입
상수, 리터럴
상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final 상수타입 상수명 = 값;
상수명은 주로 대문자로 한다
리터럴
자바에서 상수가 아닌 우리가 원래 아는 상수를 리터럴이라고 하며 변하지 않는 값을 뜻한다.
final SANGSOO = "literal"
리터럴의 타입
논리형 : false, true
정수형 : 123, 123L, n진법 정수들
실수형 : 3.14, 3.0e8, 3.14f, 3.14d, 그외 n진법 실수들.
문자형 : 'A', '1' ,'마'
문자열 : "string", "12345", "안녕하세요", "A"
String name = "Java"; String name = "Ja" + "va";
String Str = name + 8.0;
System.out.println(name) //출력 : Java
System.out.println(Str) //출력 : Java8.0
System.out.println(10+7+"") //출력 : 17(문자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