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상수

coding by 스플릿·2021년 12월 14일
0

Java1

목록 보기
4/44
  • +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이들은 연산자(operator) 로 자바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연산자가 있다

변수

  •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

  • 제일 먼저 변수를 선언한다
    int x; //변수타입(int : integar(정수)) 변수명 : x;

  •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명의 저장공간이 생기고 그 저장공간에 값을 저장한다
    x = 5; //변수 x에 5를 저장한다

  • 자바에서는 " = " 는 대입 연산자로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저장하라는 것이다
    x = 3; //5가 저장되어 있는 변수 x에 3을 저장하면 x는 3으로 바뀐다.

  • 변수 선업과 대입을 한줄로도 할 수도 있다
    int x = 5;

변수 타입

  • 숫자
    •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
      int(integer), long (숫자가 20억이 넘을 땐 long 사용)
    • 실수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
      float, double ( float는 7자리까지 double은 15자리까지 오차가 없다 )
  • 문자
    • char (character)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 ( 문자는 ' ' 안에 적는다 )
    • String
      문자열을 저장하기 위한 타입 ( 문자열은 " " 안에 적는다 )

상수, 리터럴

  • 상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final 상수타입 상수명 = 값;
    상수명은 주로 대문자로 한다

  • 리터럴
    자바에서 상수가 아닌 우리가 원래 아는 상수를 리터럴이라고 하며 변하지 않는 값을 뜻한다.
    final SANGSOO = "literal"

리터럴의 타입

  • 논리형 : false, true

  • 정수형 : 123, 123L, n진법 정수들

    • long 변수타입에는 접미사로l,L이 붙는다
    • n진법 수에는 접두사가 붙는다
  • 실수형 : 3.14, 3.0e8, 3.14f, 3.14d, 그외 n진법 실수들.

    • float 변수타입에는 접미사로 f, F가 붙는다
    • double에도 d,D가 붙지만 생략이 가능하다
    • n진법에는 접미사가 붙는다
  • 문자형 : 'A', '1' ,'마'

    • ' ' 안에 문자 하나를 넣어야하며 문자가 없거나 하나 이상일 경우 에러가 난다
  • 문자열 : "string", "12345", "안녕하세요", "A"

    • " "안에 문자열을 넣어야하며 문자가 없어도 되고 한개여도 된다
    • 원래는 클래스이기 때문에 연산자 new로 객체를 생성하여야 하지만 아래도 특별히 허용한다
      String name = "Java";
    • 문자열들을 합칠 때도 덧셈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 문자열과 다른 타입의 변수와 덧셈연산을 하게되면 그결과는 문자열이 된다
  String name = "Ja" + "va";
  String Str = name + 8.0;
  System.out.println(name) //출력 : Java
  System.out.println(Str) //출력 : Java8.0
  System.out.println(10+7+"") //출력 : 17(문자열)

0개의 댓글